<“过”의 의미와 용법>
1. 동사나 형용사 뒤에 두어 과거 경험을 강조한다.
a) 동사나 동사 + 过。 종종 “曾经, 曾”과 함께 사용된다.
▶ 你去过香港吗? (가본 적…)
▶ 我曾经去过。 (전에 가본 적 있다.)
▶ 我和他曾经一起工作过很多年。 (…함께 일한 적이 있다.)
b) 형용사 + 过
▶ 我年轻的时候, 曾经大病过。 (크게 아픈 적이 있었다.)
▶ 她情绪没有这么好过。 (이렇게 좋은 적이 없었다.)
▶ 北京的冬天很少这么暖和过。 (이렇게 따뜻한 적이 없었다.)
c) 끝났다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完”과 호환될 수 있지만 강조점이 다르다. “了”는 완료를 강조하고, “过”는 과거의 경험을 강조한다.
▶ 我已经吃过饭了 → 我已经吃完饭了。
▶ 我喝过咖啡了 → 我喝完咖啡了。
d) 한 문장에서 “过”와 “了”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 我吃过饭, 看了书, 再去你那里。
▶ 他回家以后, 洗过澡, 换了衣服, 现在看着电视!
<“过”를 잘못 사용한 경우>
1. a) 你吃这种水果过吗? (x)
b) 你吃过这种水果吗? (“过”는 언제나 동사나 형용사 뒤에 있어야 한다.)
2. a) 我在国外, 读《红楼梦》过。 (x)
b) 我在国外, 读过《红楼梦》 (“过”는 동사와 목적어 사이에 끼어들 수 없다.)
3. a) 我小时候和父母一起住欧洲过。 (x)
b) 我小时候和父母一起在欧洲住过。 (장소가 목적어가 되는 경우 “在…住过(看过, 见过,听过, 说过)
4. a) 小王没去过西藏。 (부정문인 경우도 “过”는 동사 뒤에 온다.)
b) 小王没去西藏过。 (x)
5. a) 我爸爸不曾在非洲工作过。 (“曾经”의 부정은 “不曾”이고 “过”는 여전히 동사 뒤에 온다.)
b) 我爸爸没有曾经在非洲工作过。 (x)
<“了”와 “着” 그리고 “过”의 연습문>
1. 听( )医生的话, 他离开走出( )病房。 (了, 了)
2. 前年, 我得( ), 住( )一个月医院,才恢复( )健康。 (了, 过, 了)
3. 他在中国住( )一年以后, 决定( )在大学毕业后来中国。 (了, 了)
4. 我刚才去( )邮局, 往日本寄( )一箱书。 (过, 了)
5. 我已经看( )这部电影( )。 (过, 了)
6. 我吃( )饭, 他看( )着书。 (着, 着)
7. 他门前摆( )一盆花,是去年的。 (着)
8. 医生先看( )看我的嗓子,又听( )听我的胸部。 (了, 了)
9. 他20岁, 就是一名有名的画家( )。 (了)
10. 如果你曾经听( )他的演说, 你就会知道他多么有知识( )。 (过, 了)
11. 在汽车上,我们边唱( )歌, 边看( )窗外风景。 (着, 着)
12. 爷爷今年80岁( ), 他年轻时, 曾当( )兵。 (了, 过)
13. 外面下( )雨, 比赛怎么进行呢? (着)
14. 这是历史上不曾出现( )的奇迹! (过)
15. 他在北京住( )那么长的时间, 居然没有去( )长城! (了, 过)
<어기조사(语气助词)>
중국어의 어기조사는 문장 제일 끝에 두어서 여러 가지 감정을 나타낸다. 중국의 각 지역마다 특별한 어기조사가 있고 글 없이 발음만 있는 어기조사도 있다. 대표적인 어기조사에는 의문 어기조사로 “吗”, “呢”, “吧”,“嘛” 등이 있다.
1) “吗”는 일반 서술 의문문 끝에 두고 의문어기를 나타낸다.
a) ▶ 你去北京吗? (베이징에 가나요?)
▶ 他们已经决定参加比赛了吗? (…참석하기로 결정했나요?)
b)강한 불쾌감을 나타내는 반문
▶ 你难道不知道吗? (…차마 몰랐던 것은 아니지요?)
▶ 难道你们就没有责任吗? (....차마 책임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겠지요?)
▶ 不是他们拿走的吗? (…가져간 것 아닌가요?)
2) 呢는 선택 의문문, 의문대사 의문문, 반문문에 사용한다.
a) 선택문
▶ 去呢, 还是不去? (가나요, 안 가나요?)
▶ 我告诉他呢, 还是不告诉他? (말할까요, 하지 말까요?)
b)의문대사 의문문
▶ 他怎么还不回来呢? (왜 아직 안 돌아오지요?)
▶ 你为什么不吃呢? (왜 아직 안 먹지요?)
▶ 他们什么时候去北京呢? (언제 베이징에 가지요?)
c) 상대방 의견을 묻는 반문문
▶ 我喜欢吃川菜, 你呢? (…당신은요?)
▶ 他想去颐和园, 你们呢? (…당신들은요?)
▶ 我的自行车呢? (…내 자전거는요?)
d) 감탄, 과장, 짜증
▶ 那个商店可贵呢! (과장)(…엄청 비싸네!)
▶ 我才不相信他的话呢! (짜증) (…절대 안 믿어!)
▶ 他比我聪明多了呢! (과장) (…훨씬 똑똑해!)
▶ 这可不行呢! (짜증) (…절대 안돼!)
▶ 和你比, 我还差得远呢! (과장) (…너무 차이가 많아! 훨씬 뒤 쳐지지!)
3) 吧는 의문, 추측, 부탁(명령), 상의 등 어기
a) 추측, 의문
▶ 你是日本人吧? (…이지요?)
▶ 今天是星期三吧? (…이지요?)
▶ 他不会不来吧? (…반드시 오지요?)
b) 상의, 부탁, 명령
▶ 好吧! 我同意 (알았어요, 동의합니다!)
▶ 就这样吧! (그럼, 그렇게 해요!)
▶ 今天就讲到这里吧! (여기까지만 해요!)
▶ 你帮我去一趟吧! (한 번 가 줘요!)
▶ 一起走吧! (함께 가자!)
c) 예화를 들 때
▶ 我跑得不快, 比如小王吧!, 他就快多了! (小王을 예를 들자면…)
▶ 这儿的天气实在不好, 就这周来说吧, 每天都下雨。 (이번 주 예를 들자면….)
▶ 举个例子吧! (예를 하나 들어보지요!)
d) 두 상황을 대비해서 추측할 때
▶ 去吧, 没钱, 不去吧, 又对不起他, 真为难。 (가자니…. 안 가자니…)
▶ 吃吧, 怕胖, 不吃吧, 怕他不高兴。 (먹자니… 안 먹자니…)
▶ 离开吧, 舍不得, 不离开吧, 又担心有麻烦。 (떠나자니…. 안 떠나자니…)
4)嘛 일반 서술문 끝에 두어 좀 애교스러운 어투이다.
a) 불만스러움
▶ 错了就改嘛! (틀렸다면 고치면 되잖아요!)
▶ 不知道就学嘛! (모르면 배우면 되잖아요!)
▶ 你本来就有点不聪明嘛! (너 원래 좀 안 똑똑하잖아!)
b) 반문문으로 “不是….嘛”, 따지는 말투
▶ 我不是告诉过你嘛! (이야기했잖아요!)
▶ 你是我的新朋友嘛! (새 친구잖아!)
▶ 他不是我说的那个人嘛! (내가 말한 그 사람이 아니잖아요!)
c) 뒤따라 나온 문장을 강조할 때
▶ 老师嘛! 就应该那样。 (선생님이니까…)
▶ 便宜嘛! 所以我多买了几个。(싸니까…)
▶ 就是嘛! 困难都可以克服的。(바로 그거지…)
5) “了” 동사의 시태(时态)가 아닌 사태(상태)의 변화와 확정의 어기를 나타낸다.
a) 변화, 주로 상태동사나 심리동사로 변화됨을 의미한다.
▶ 树叶绿了,花儿开了,春天来了。 (전에는 아니지만 이제는…. 봄이 왔다.)
▶ 弟弟懂事多了。 (전에는 철이 없었는데 이제는 철이 들었다.)
▶ 我们现在都清楚了。 (전에는 몰았는데 이제는 분명히 알았다.)
b) 곧 발생할 상황 (임박형)
▶ 飞机马上要起飞了。 (곧 출발한다.)
▶ 该吃晚饭了, 回家吧! (곧 저녁 먹어야 되요!)
▶ 快下雨了, 穿上雨衣吧! (곧 비가 오겠네!)
c) 너무 심하다. 너무 오버하다.
▶ 菜太咸了! (너무 짜다.)
▶ 他太过分了! (너무 심했다.)
▶ 你太不像话了! (너무 심하다.)
d) 그만하라, 더 이상 하지 마요.
▶ 别说了! 我不想听。 (그만! 더 이상 듣고 싶지 않다.)
▶ 别再喝了! 你要醉了。 (그만 마셔라! 취하겠다.)
▶ 不要去了! 白跑。 (가지 마요! 헛수고 한 거요.)
e) “정도가 심하고, 시간이 길고, 양이 많다”는 뜻이다.
▶ 两个多月了, 他的病还是没好。 (벌써 두 달인데, 아직 병이 낫지 않는다.)
▶ 我问他三遍了, 他也不回答。 (세 번이나 물었는데, 계속 답을 안 하다.)
▶ 班上已经20多个人了, 不能再增加了。 (반에 20명이 넘어서 더 이상 오면 안돼요.)
f) 자신 있게, 확정적인 어기
▶ 这是我最后警告你了! (마지막 경고이다!)
▶ 我们就这样决定了! (끝으로 이렇게 결정한다!)
어기조사로 중국어 허사를 마무리하고 다음 호부터는 보어를 공부하게 됩니다. 오랜 시간 허사를 함께 공부할 수 있어서 매우 기뻤습니다. 수고하신 독자님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김란 | 제주사역중국어훈련원 원장 (E-mail/ taianchina@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