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처음 발을 내딛었을 때는 진정으로 중국과 중국인들을 사랑하며 이 한 목숨 바쳐서 복음을 위해 살고 중국 땅에 뼈를 묻으리라 다짐을 했지만, 안식년으로 들어온 지금 '내 자신이 과연 나의 사역과 비전을 위해 현지인들을 희생시키지는 않았는지 ' 돌이켜보게 된다. 죽도록 앞만 보고 달음질하면 뒤와 옆은 물론 달리는 길이 어떠한 곳인지조차 잠시 망각하게 된다는 사실을 고국에 돌아와서야 깨닫게 되었다. 알게 모르게 선교라는 거룩한 이름 앞에서 나의 의를 앞세우지는 않았는지, 나의 거짓되고 오만한 태도에 현지인들의 마음이 다치지는 않았는지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에게 질문하면서, 그간 사역하면서 느끼고 깨달았던 중국 교회와 중국선교 흐름을 정리해본다.
변하고 있는 중국 교회
작년에 ○○성의 가정교회 주요 단체 지도자들의 모임에 참석한 일이 있다. ○○성은 과거 중국 기독교 부흥이 일어났고, 복음의 중심지이며, 현재의 기독교 흐름을 주관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각 단체 대표들이 모임을 통해 중국 가정교회들의 난제(難題)와 가정교회들의 공동의 목표인 세계선교에 대한 중요한 안건들을 논의하고, 앞으로 가정교회가 연합하여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중국대륙을 선교하는 외국교회, 선교 단체들에게 자신들의 입장과 필요한 것들을 표명하고 요청하는 자리였다. 필자는 이 회의에 참석하면서 지금 변화하고 있는 중국 교회를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 1960년대와 2000년대가 공존하는 현재의 중국 사회와 마찬가지고, 중국 교회도 밀려오는 선진 문명과 씨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회의에 참석한 모든 단체가 공통적으로 요청하는 것은 기존에 요청했던 것과 달랐다. 과거 복음을 전해주고 신학과 성경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사역자와 문서 등을 요청했던 것과는 달리, 전혀 새로운 분야에 대한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무척 놀라웠다. 이제는 중국 교회도 어느 정도 자체적으로 충당이 되고 만족스러운 부분까지 도달했다는 것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가정교회가 열악하여 스스로 복음을 전하고 재정을 감당할 수 없다는 부분은 인정하면서도,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부분은 끝까지 담당하려는 강한 의지가 엿보였다. 그러한 의지는 그간 외부세력들에게 외압과 침략을 당해 쌓아두었던 중국적 자존심이나 자신들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이 밑바탕으로 깔려 있어서만은 아니었다. 자신들의 민족과 국가, 또한 세계 복음화를 향해 달음질하며 가고자 하는 그들의 순수한 열정이 담겨 있었다.
그러한 열정으로 ○○성을 중심으로 부흥한 교회들은 이미 농촌 지역의 복음화를 80%정도 달성하고, 이제는 도시선교로 지향하여 진행하고 있다. 도시에서 성장하고, 도시에서 교육받은 도시적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젊은 인력을 동원하여 도시 가정교회를 구축하고 있다고 한다.
복음의 토착화
선교사에게는 현지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이 필요하다. 특히 중국선교가 그러하다. 거대한 땅덩어리의 56개 민족과 13억의 사람들은 너무나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전하는 복음을 어떠한 틀에 집어넣어 전해준다고 해도, 그 틀은 짧은 시간 내에 변형되어 본래의 모양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이미 다른 문화권의 배경을 가지고 이는 선교사가 가지고 들어온 틀은 현지인의 문화와 습관에 적용되지 않기에 대부분 초기 사역에 실패한다. 고국에서 파송을 받고 현지에 나오기 전에 준비한 프로그램이 현지 교회와 성도들을 통해 뿌리를 내리고 정착하려면 오랜 시가니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한 한족 사역자는 한국 선교사들이 자신들이 가르치는 것만이 정통이라며 그것만을 고집하고, 현지인들에게 억지로 주입하려고 하는 것이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였다. 현지에서 사역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융통성을 가지고 다양한 방법과 시스템으로 복음을 전하고 가르치는 일이 필요하다.
다양해진 교회사역
현재 중국 가정교회의 이동신학교 또는 단기 학습반(培訓班)의 커리큘럼도 많이 달라졌다. 성경신학, 조직신학 등의 신학 뿐만 아니라 영어, 음악(경배와 찬양, 기타, 피아노, 성가대 지휘 등), 컴퓨터 등이 추가되었으며, 이 사역을 진행하는 선교사들은 이런 분야를 담당해 줄 사역자를 찾고 있는 실정이다.
영어를 가르쳐주는 전문적인 신학교도 생겨났는데, ○○지역에 있는 이 학교의 목표는 영어를 기본으로 습득하게 하여 중국이 종교적으로 개방이 될 때 타문화권으로 선교사를 보내는 것이다. 이 학교는 외국 선교사가 설립한 것이 아니라, ○○지역의 가정교회가 세계선교의 비전을 품고 자체적으로 세운 학교이다.
기독교 음악 사역도 늘어나고 있다. 기족의 숫자악보에서 오선지 악보를 보는 법을 배워 화성의 구성과 진행, 장·단조 등을 이해하고, 각종 악기 연주를 배워 예배를 더 풍성하게 하고 있다. 필자와 협력관계에 있는 한 단체의 지도자는 한국 교회의 '경배와 찬양' 실황 비디오 테이트를 보고, 그들이 찾는 예배의 형식이 바로 이것이라며 자신들에게 가르쳐줄 것을 원했다.
또 K선교회에서는 한 가정교회 단체로부터 가정교회 사역자들의 컴퓨터 교육을 위탁받아 컴퓨터와 기자재를 구입, 설치하고 교육하는 중이다. 주보가 없던 가정교회들이 컴퓨터를 이용해서 주보를 만들고, 신앙에 필요한 자료들을 검색하며 이용하고 있다.
선교사의 깊은 영성
이제 한국 선교사들은 시대의 흐름에 맞춰 다르게 변화하는 중국 교회의 흐름에 민감하게 움직여야 할 것이다. 물론 그들의 변화, 곧 그에 따른 그들의 필요에 검증없이 무조건 응해도 안 될 거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선교사 자신에게 있어 가장 민감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은 영성이라 생각한다. 중국 가정교회 지도자들 치고 감옥에 한 번 안 갔다 온 사람이 없다. 이들은 고난의 영성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억눌리고 핍박받는 이들을 치유하고 위로할 수 있는 성육신의 영성을 가진 선교사들이 중국 교회에 참으로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속에서 참 영성을 간직하고 살아가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생활하면서 부딪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역을 하면서도 마찬가지이다. 허난(河南)성 속담에 '자기를 낳아준 어머니를 제외하고는 모든 것이 다 가짜' 라는 말이 있다. 거짓의 영에 사로잡힌 중구에서는 모든 것이 다 의심으로부터 시작된다 택시를 타고 내릴 때 거스름돈을 받으면 자연스럽게 지폐가 가짜인지 진짜인지 비벼보고 햇빛에 비추어 본다. 이런 자세로 현지인을 만나고 대하면 나 자신 또한 변해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현지에 동화되는 과정에서 무엇인가 변질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깊은 영성은 그 변질을 회복하고 막아줄 수 있다. 이 중국이라는 어둠의 세력 안에서도 승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나 영성은 하루아침에 생기는 것이 아니다. 삶으로 심겨질 때까지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현지인에게 이 영성을 가르치고, 깊은 영성으로 살게 하기 위해서는 함께 사는 방법 밖에는 없다. 예수님의 공생애 기간 동안 함께 다니며 예수님의 일거수 일투족을 배운 열두 명의 제자들과 마찬가지로, 선교사는 그 땅에서 그들과 함께 살면서 몸소 행함으로 그 영성을 전해주어야 한다. 함께 살면서 학습하는 중국 내에서의 공동체는 말씀으로 살아가는 법을 배워 영성으로 뿌리를 내리게 하는 한 가지의 선교 전략이다.
양 문 | 중국선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