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이번호 
북쇼핑
2025년
5월호(통권 273호)
선교길라잡이
[발행인통신] 이런 BC도 있습니다 - Beautiful China!
[선교나침반] 국가종교사무국령 제23호 읽기
[선교일언]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 실태와 북한선교
중국선교 이해하기
[오늘의 중국교회] 중국, ‘외국인종교활동 조례’ 개정과 시행_선교사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더 구체화된 규범
[오늘의 중국교회] 제주 다녀온 조선족 목사 ‘타인 밀입국(변)경 조직죄’ 혐의로 체포 _재판 전 회의를 앞두고
[오늘의 중국교회] <성경> 판매 ‘불법경영죄’로 기소된 내몽골 후허하오터시 기독교인들, 세 번째 선고 또 취소
[오늘의 중국교회] ‘불법경영죄’로 기소된 내몽골 후허하오터 왕훙란 등 9명의 기독교인 모두 중징계
기획
[특집]  ‘양안관계’ 긴장 정세 속 대만교회의 중국선교_한국교회의 북한선교와 비교하며
중국 들여다보기
[중국기독교회사] 19세기 후반 중국에서의 교안 (4)
[차이나 윈도] 중국에서 공개 추모할 수 없는 희생자들 _원촨과 톈안먼 6.4 사태 유족들의 정의구현을 위한 노력
[차이나 윈도] 티베트 기숙학교 군사화 관리 추진하는 중국 당국
중국어마당
[신조어로 보는 중국 사회] 라오류(老六)
[중국어 기도] 为主发光的生命 神圣的呼召 (빛을 비추는 삶, 거룩한 부르심)
[중국 고사성어를 통한 성경묵상] ‘反求诸己(반구제기)’를 통한 ‘내 자신을 돌아보는 신앙’의 묵상
정보광장
[책 속의 중국] 《량좡 마을 속의 중국》
[단신] 3%의 선교사만이 미전도종족 지역으로 파송 _홍콩기독교선교협의회, 홍콩교회들에 자원의 효율적 배분 촉구
[단신] 지미 라이, 미국 브래들리 재단에서 주는 명예상 수상
[신간도서] 2049년을 향해 시진핑 시대의 새로운 길 & 한국교회 첫 사건들 외
2023.12.3  통권 256호  필자 : 김란  |  조회 : 1237   프린트   이메일 
[중국 고사성어를 통한 성경묵상]
‘伯乐相马(백락상마)’를 통한 ‘하나님께 받은 은사를 세워주는 삶’의 묵상

* 伯乐相马 [bólèxiàngmǎ] 성어 한 사람이 인재를 잘 발견하고 추천하고 배양함을 이르는 말이다.

【历史故事】
‘伯乐相马’意指‘名马’必须遇见‘伯乐’,才能出名,一样地,有才能的人,必须遇见具有识别人才眼力的人,才能发光。‘伯乐’是指有识别人才慧眼的人,‘千里马’是指‘人才’。

这是出于《战国策》的一个典故,伯乐本来的名字叫孙扬,是春秋秦穆公时人。他很懂得识别马的好坏。‘伯乐’本来是天上一个星宿的名称,传说这星宿专管天马,因为孙扬很会相马,所以人们叫他伯乐。

有一天,周国有个卖马的人,来找伯乐说,他有一匹好马想卖,但过了好几天,还是没有人买,再三拜托伯乐,为这匹马做个评价,他会付给他一笔足够的谢礼金。伯乐到了买马场,前后左右地,仔细观察了这匹马。伯乐连连感叹着说,他从未见过这么好的骏马。站在周围的人,一听伯乐的评价,都争先恐后地要买这匹马,最终,因为伯乐的评价,这匹马被高价出售。

【역사 이야기】
‘백락상마'는‘명마'가 반드시 ‘백락'을 만나야 유명해진다는 뜻으로, 마찬가지로 재능 있는 사람은 인재를 알아보는 안목을 가진 사람을 만나야 빛을 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백락’은 인재를 알아보는 혜안이 있는 사람을 뜻하고, ‘천리마'는 ‘인재'를 뜻한다.

이는 《전국책(战国策)》의 한 고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백락의 본래 이름은 손양(孙扬)이며, 춘추 진목공(秦穆公) 시대 사람이다. 그는 좋은 말과 나쁜 말을 식별할 줄 알았다. 원래 하늘에 있는 별자리의 명칭인 백락은 천마를 주관한다고 전해지는데, 손양이 말의 평가를 잘해서 사람들은 그를 백락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어느 날, 주(周)나라의 말을 파는 사람이 백락에게 와서 말하기를 그는 좋은 말을 팔려고 했지만 여러 날이 지나도 아무도 사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백락에게 말을 평가해 달라고 거듭 부탁하며 충분한 사례금을 지불할 것이라고 했다. 백락은 마(马)시장에 도착하여 말을 전후좌우로 자세히 관찰했다. 백락은 감탄사를 연발하며 이렇게 좋은 준마를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주변에 있던 사람들은 백락의 평을 듣자마자 앞다투어 이 말을 사려고 했고, 결국 백락의 평가 때문에 말은 비싸게 팔렸다.

【词汇】 眼力: 안목 典故: 전례(典例)와 고사(故事)를 아울러 이르는 말 星宿: 별자리 相马: 말의 좋고 나쁨을 가려내다, 말의 양부(良否)를 판별하다, 인재를 잘 알아보다 骏马: 준마争先恐后: (성어) 늦을세라[뒤질세라] 앞을 다투다




【灵训】 

“你不可轻忽所得的恩赐”(提前4:14a)

所谓 “先有伯乐,后有千里马,千里马常有,伯乐不常有”,就是说,人世间有不少有用的人才,因为没有人赏识他们,使用他们,可惜都给埋没了。

一个领袖是否成功,往往在于能否用才。今天教会不能复兴,是因为许多恩赐被埋没了,就像在耶稣的比喻中,那个领一千银子的仆人,将主人交代给他的银子,埋藏在地里一样(太25:25)。

有恩赐没被发挥出来, 有时候是出自领袖的忌才所致。这是违背圣经的。神赐下各样‘百般’的恩赐给教会,是为了彼此服事和建立的(彼前4:10)。‘适得其所’的服事,使服事者和教会都受益匪浅。让我们尊重各人从神所领受的恩赐,彼此配搭借此荣耀神!


【성경묵상】
받은 것(은사)을 가볍게 여기지 말며 (딤전 4:14a)

이른바 “먼저 백락이 있고 그 다음에 천리마가 있다. 천리마는 항상 있지만 백락은 항상 있지 않다”는 말은, 세상에는 유용한 인재가 적지 않지만 아무도 그들을 알아주지 않고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타깝게도 모두 묻혀 있다는 것이다. 

지도자의 성공 여부는 인재를 발굴하여 육성할 수 있는가, 할 수 없는가에 달려 있다. 오늘날 교회가 부흥하지 못하는 것은 예수님이 비유로 말씀하신 한 달란트를 받은 종이 주인에게 받은 달란트를 땅에 묻은 것처럼 많은 은사가 땅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이다(마 25:25).

은사가 발휘되지 못하는 것이 지도자의 질투 때문일 때가 있다. 이것은 성경에 위배된다. 하나님은 서로를 섬기고 세워주기 위해 교회에 “여러 가지” 은사를 주셨다(벧전 4:10). ‘때와 장소에 적합한’ 섬김은 섬기는 사람과 교회 모두에게 많은 유익을 준다. 우리 각자가 하나님께 받은 은사를 존중하고 서로 협력하여 이로써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시다!

【词汇】 轻忽: 가볍게 여기다 不常有: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 赏识: (남의 재능이나 작품의 가치를) 알아주다, 중시하다 埋没: 매몰되다 在于: …에 있다能否: …을 할 수 있을까 忌才: (문어) 남의 재주를[재능을] 시기하다 所致: 소치. 탓. 까닭에서 빚어진 일. …로 인한 일[것] 适得其所: 때와 장소에 적합하다 受益匪浅: (성어) 얻은 바가 꽤 많다, 수확이 아주 많다, 많은 이득을 얻다搭配: 서로 잘 맞추어서 (잘 어울리게) 도움을 주고받다 借此: 이(것으)로써, 그(것으)로써




사진 출처 | 바이두
김란 | 레인보우사역중국어교육원 원장
번역 | 편집부
    인쇄하기   메일로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