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지난호 
북쇼핑
2019.1.3  통권 197호  필자 : 석은혜  |  조회 : 4274   프린트   이메일 
[한국어 속담/격언 중국어로 번역하기]
단어는 다르지만 그 의미가 일치하는 속담



[편집자주]
이번 호부터 본 웹진의 전 석은혜 편집장님의 ‘한국어 속담/격언 중국어로 번역하기’ 코너를 새롭게 시작합니다. 한국어 속담이나 격언을 중국어로 번역할 때 누구나 한 번쯤은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을 텐데요. 한 번에 7-10개 정도씩 소개되는 글을 통하여 유익한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어 속담을 중국어로 번역할 때 어떻게 번역해야 좋을지 난감할 때가 있다. 어떤 한국어 속담은 중국어의 “谚语, 俗语, 歇后语” 등과 대응관계가 이루어지지만 어떤 속담은 대응관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한국어 속담과 중국어 속담의 단어(혹은 형태)가 약간 다르지만 번역하면 그 의미가 비슷한 속담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이 속담은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그 원인에 따른 결과가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즉 뿌린 대로 거둔다는 뜻이다.  중국어로는 “种瓜得瓜, 种豆得豆(zhòng guā dé guā, zhòng dòu dé dòu)이며, 번역하면 “오이 심은 데 오이가 나고, 콩 심은 데 콩이 난다.” 


(2)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다.” 이 속담은 전문가 앞에서 재주를 뽐낸다는 뜻이다. 중국어로는 “孔夫子门前讲论语” (Kǒng fūzǐ mén qián jiǎng lúnyǔ)이며, 번역하면 “공자 앞에서 논어를 강의한다”이다. 한국어로는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라는 말로 사용된다. 이 속담은 또 “班门弄斧” (Bān mén nòng fǔ)라는 말로도 번역할 수 있다. 원래 노(鲁)나라의 명공(名工) 노반(鲁班)의 문 앞에서 도끼질한다는 말로 그 의미는 전자와 같다. 또 “关公面前耍大刀” (Guāngōng miànqián shuǎ dàdāo)로도 번역할 수 있는데, 칼 싸움을 잘하는 관공(관우) 앞에서 큰 칼을 가지고 논다는 말이다.
 

(3) “상전 배부르면 종 배고픈 줄 모른다.” 이 속담은 권세 있고 잘사는 사람들이 제 배가 불러 있으니 모두 저와 같은 줄 알고 종들이 배를 곯는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이다. 중국어로 “饱汉不知饿汉饥” (bǎohàn bùzhī èhàn jī)이며, 번역하면 “배부른 사람은 굶주린 사람의 배고픔을 모른다”이다. 이 속담은 또 “穿鞋的不知赤脚苦” (Chuān xié de bùzhī chìjiǎo kǔ)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 말은 “신을 신고 있는 사람은 맨발인 사람의 고통을 모른다”이다. 또 “坐轿不知抬轿苦” (Zuò jiào bùzhī tái jiào kǔ)로도 번역할 수 있는데, 번역하면 “가마에 앉아 있는 사람은 가마를 드는 사람의 고통을 모른다”이다. 즉 자신이 경험하지 않으면 타인의 고통을 모른다는 뜻이다. 


(4) “돈만 있으면 귀신도 부릴 수 있다.” 이 속담은 돈만 있으면 세상에 못 할 일이 없다는 뜻이다. 즉 황금만능주의를 말해주는 속담이다. 중국어로는 “有钱能使鬼推磨” (Yǒu qián néng shǐ guǐ tuī mó)이다. 직역하면 “돈이 있으면 귀신에게 맷돌질을 하게 할 수도 있다”이다. 만약 돈이 없이 싼 물건을 사게 되면 “一分钱一分货” (Yī fēn qián yī fēn huò)이다. 일전짜리는 일전만큼의 물건값을 한다는 말로, 돈 낸 것만큼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5)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한다.” 이 속담은 뛰어난 사람이 없는 곳곳에 보잘것없는 사람이 득세함을 이르는 말이다. 중국어로는 “山中无老虎, 猴子称大王” (Shānzhōng wú lǎohǔ, hóuzi chēng dàwáng)이다. 번역하면 “호랑이 없는 산에서는 원숭이가 대왕으로 불린다”이다. 


(6) “쥐도 새도 모른다.” 이 속담은 아무도 모르게 감쪽같이 어떤 일을 할 때 쓰는 말이다. 중국어로는 “人不知鬼不觉” (Rén bùzhī guǐ bù jué)이며, 번역하면 “사람도 귀신도 다 모른다”이다. “神不知鬼不觉” (Shén bùzhī guǐ bù jué)라고도 한다. “하나님도 귀신도 다 모른다”이다.


(7)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 이 속담은 한 사람의 좋지 않은 행동이 그 집단 전체나 여러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중국어로는 “一条鱼腥了一锅汤” (Yītiáo yú xīngle yī guō tang)이며, 번역하면 “한 마리 생선이 온 솥의 국을 비리게 한다”이다. 또 “一颗老鼠屎坏了一锅汤” (yīkē lăoshŭshĭ huài le yī guōtāng)이라고도 하는데 번역하면 “쥐똥 하나 때문에 국을 망치다.”이다.







 

석은혜 | 본지 전 편집장
 

    인쇄하기   메일로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