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되는 두 부정부사 “不”와 “没” 초급 중국어 단계에서부터 “不”와 “没”를 접하면서 그냥 부정문에서 사용하면 된다고만 생각하고 너무 쉽게 써 왔다. 대개의 사람들이 부정문에 대해 정확하게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부정부사는 다른 부사에 비해 종류는 많지 않지만 “不”와 “没”는 절대로 그렇게 단순한 부정부사가 아니다. 우선 아래 문장을 보면서 얼마나 다양한 “不”와 “没”의 사용법이 있는지 한번 살펴보자.
1. 今天下午我们去打球,你去吗? 不去 가냐? 안 간다! ▶ 동작을 부정함---의지적(주관적)서술. ▶ “不”는 자원하는 강한 의지적 부정이다. 2. 下午他们去打球了,你去了吗? 没去 갔었나요? 아니요, 못 갔어요. ▶ 과거에 발생한 동작을 부정함---감정적(객관적)서술. ▶ “没”는 일반적으로 “하고 싶었지만 어떤 이유로 못했다”, 약간 아쉬운 감정을 내포하고 있다.
3. 这本书你看完了吗? 还没 아직 끝까지 다 보지 못했다. ▶ 동작의 완성을 부정함. ▶ “没”는 단지 완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아직은 아니지만, 곧…” 4. 我身体不太好 몸이 조금 안 좋다. ▶ 형용사 “好”를 부정함. ▶ “不太”는 형용사 앞에 두 글자가 늘 붙어서 사용된다.
5. 这个手机真不错 “괜찮다”의 뜻이다. ▶ “不错”는 한 단어로 본다. ▶ “不错”는 중용(中庸)의 문화를 잘 나타내는 단어이다. ▶ 사람에 따라 의견이 좀 다르기도 하지만 대체로 “좋은 편이다”, 혹 “괜찮다”, “나쁘지 않다”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는 편이다.
6. 我的病还没好 아직 완전히 낫지 않았다. 여전히 아프다. ▶ 형용사 “好” 앞에서 미완성을 뜻한다. ▶ 형용사 앞에 “还没”는 아직 “好”의 상태는 아니다.
7. 那个苹果不红 사과가 빨갛지 않다. ▶ 형용사 부정. ▶ 형용사 앞에 “不”는 상태를 부인한다.
8. 我不吃早饭 나는 아침밥을 먹지 않겠다. ▶ 현재의 의지적 부정. ▶ 강하고 확실한 어기를 나타낸다.
9. 明天有雨,我不来了 내일 비가 와서 나는 안 오겠다. ▶ 미래를 부정함. ▶ 강하고 확실한 어기를 나타낸다.
10. 昨天我没给她打电话 어제 전화를 못했다. ▶ 단순 과거의 동작을 부정함.
11. 上星期我没上课,去上海了 수업을 못했다. ▶ 단순 과거의 동작을 부정함.
12. 这里一年四季不下雨 ▶ 지속되는 동작을 부정함. ▶ “不”는 “下雨”를 부정하지만 중요한 것은 “一年四季”이다. 일년 내내 오지 않는다. 의지의 부정이 아니라 “不下雨”의 상태가 지속된다는 뜻이다.
13. 我们俩不常见面 ▶ 종종 하는 동작을 부정함. ▶ “不常”은 “偶尔”와 같은 의미이다. “가끔”의 뜻이다.
14. 他从来不喝酒 ▶ 동작을 절대적으로 부정함. ▶ “从来不”는 “한 번도 …한 적 없다”라는 매우 강한 부정을 나타낸다.
15. 他从来没喝过酒 ▶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동작을 부정함.
16. 考试不通过,不能毕业 졸업을 할 수 없다. ▶ 조동사를 부정함.
17. 你不应该告诉我 안 했으면 했다. ▶ 조동사를 부정함.
18. 他身体不舒服,不会来参加会议 참석할 수 없다. ▶ 조동사를 부정함.
19. 那时,我们还不认识 ▶ 심리동사인 “认识”를 부정함.
20. 昨天太忙了,没能完成作业 너무 바빠서 어제 완성할 수 없었다. ▶ 과거 시간의 조동사를 부정함.
※ 중요한 것은 “不”와 “没”는 서로 통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적어도 “不”는 현재와 미래시제이고, “没”는 과거시제이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不”의 용도는 “그 동작을 의지적으로 안 했다”라고 표현할 때, 시간적으로 현재와 미래의 부정, “没”는 그 “동작을 하고 싶지만 못했다”라는 뜻이다. 시간적으로 과거를 부정한다. 其他否定副词 (기타 부정부사) 1. 未必 “不一定”,“也许…也许不…”의 뜻이다. ▶ “정확한 것은 아니다, 꼭 그렇다고 할 수 없다, 맞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他们未必会来=他们不一定会=他们也许来,也许不来(꼭 온다는 보장은 없다.) 这是我听说的,未必正确=不一定正确=也许正确,也许不正确(꼭 정확한 것은 아니다.) 他真的有事吗?未必!= 不一定=也许有事,也许不是(글쎄)
2. 何必=为什么一定要 ▶ “왜 꼭 그렇게 해야 돼”의 뜻이다. ▶ 항상 의문문 형태이고 뒤에는 늘 “这么,那么”와 함께한다.
• 我们是朋友,何必(=为什么一定要)那么客气? • 火车下午两点开,何必(=为什么一定要)那么着急? 3. 别: “不要”의 뜻이지만 느낌이 많이 다르다.
• 你不要去 가지 마! • 你别去 가지 말아요 • 你不要这样 이렇게 하지 마 • 你别这样 이렇게 하지 마세요. ▶ “别”는 상대방에게 부드럽게 부탁을 하는 것인데 반해 “不要”는 강한 명령을 나타낸다. ▶ “别”문장의 주어는 언제나 “你”이다.
4. 未 : 현대문으로 “没有, 还没有”의 고문(古文)으로 문장용어이다.
• 我们都未知明天将如何 (=不知道) • 人未到齐 (=还没有) 5. 非: 뜻은 “不”나 “没”와 같다.
• 非请勿进(=没有) 허락 없이 출입 금지. • 他非去不可(=不) 그는 반드시 갈려고 한다. • 非驴非马(=不是) 당나귀도 아니고 말도 아니다. 6. 甭(béng): 别, 不必, 不用, 不要와 같은 뜻이다.
• 甭说了!(=别, 不必, 不要, 不用)더 이상 말할 것 없다. • 甭想拿回来(=别,不必,不要,不用)돌려받을 생각하지 마라. ▶ “别”와 뜻은 비슷하지만 부드럽고 예의 바른 표현은 아니다.
否定副词 “不”, “没” 和其他副词
세 가지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1 부정부사가 다른 부사 뒤에 있어야 할 경우
• 他又不来了(“又”는 빈도부사) 그는 또 안 온다. • 这未必不是好事(“未必”는 부정부사) 이것은 반드시 나쁜 일만은 아니다. • 我从来没去过西藏(“从来”는 시간부사) 한 번도 간 적이 없다. • 姐姐根本不同意我们结婚(“根本”는 시간, 어기부사)처음부터 동의하지 않았다. • 你怎么还不走 (여기서 “还”는 어기부사) • 我很不习惯早睡早起 (“很”은 정도부사) ▶ 대부분의 부사는 “不”와 “没”의 앞에 온다. 2 다른 부사 앞에 와도 되고 뒤에 와도 되는 경우
• 我们不都同意 (부분부정) • 我们都不同意 (전체부정) • 他们不全是大学生 (부분부정) • 他们全不是大学生 (전체부정) • 那儿的交通不很方便 (부분부정. 조금, 약간 불편하다.) • 那儿的交通很不方便 (전체부정. 많이 불편하다.) • 这个说法不一定对 (부분부정. 반드시 맞다고 볼 수 없다.) • 这个说法一定不对 (전체부정. 반드시 틀린 것이다.) • 你这样做不太对 (부분부정. 조금 안 맞다.) • 你这样做太不对了 (전체부정. 너무 잘못했다.) 3 다른 부사 앞에 와야 할 경우
• 我们没白来北京 (여기서 “白”는 상태부사, 허탕치지 안 했다.) • 我们不马上走 (“马上”은 시간부사) • 你不亲眼看不行 (“亲眼”은 상태부사. 직접 보지 않으면 안 된다.) • 你们不一块儿走吗? (“一块儿”은 상태부사) • 他不只一次犯错 (“只”는 범위부사. 한 번 실수한 것이 아니다.) • 不光是中国人,韩国人也喜欢 (“光”은 범위부사. 중국 사람만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람도 좋아한다.) ※ 이상 문장을 보면 기타 다른 종류의 부사가 있을 때, “不”와 “没”의 위치는 반드시 그 앞이나 그 뒤에 와야 한다는 원칙은 정확하지 않다. 위의 문장들에서 ▶ 1번 문장들: “不”와 “没”가 기타 부사 뒤에 있는 경우에는 “不”와 “没” 뒤에 있는 동사를 부정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 2번 문장들: “不”와 “没”가 기타 부사의 전후에 다 가능하지만 의미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전체를 부정하는지 부분을 부정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 3번 문장들: “不”와 “没”가 기타 부사 앞에 있는 경우에는 “不”와 “没”는 그 뒤의 문장 전체를 부정하는 의미로 이끌어간다.
그동안 너무 쉽게 생각한 그래서 아무 생각 없이 사용했을지 모를 “不”와 “没”에 대해 재조명해 보았다. 조금 복잡하지만 가까운 관계일수록 더 예의를 지켜야 하는 것처럼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不”와 “没”를 좀 더 정확하게 알았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중국인들한테는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 부정문인데 알고 보면 여기저기에 함정이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앞으로 “不”와 “没”를 더 신중하게, 더 조심스럽게 사용하기를 바란다. ※ 雅各书里的否定副词(야고보서의 부정부사) 야고보서에는 “不”에 비해 “没”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조심해야 할 것은 “没有” 뒤에 동사나 명사가 다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没有” 뒤에 명사가 나오면 “没有”는 동사가 되고, “没有” 뒤에 동사가 나와야 부사가 된다. 우리가 찾아야 할 것은 부사 “没有”이다.
아래에서 정리한 것처럼 야고보서 대부분의 부정문은 “不” 뒤에 “是”가 있고, 조동사가 있다. 비교적 단순한 부정문이다. 1:6 不疑惑 / 1:7 不要想 / 1:13 不可说, 不能, 不试探/ 1:16 不要 / 1:20 不成就 / 1:22 不要 / 1:23 不行道 / 1:25 不是 / 1:26 不勒住 2:1 不可 / 2:4 不是 / 2:5 不是 / 2:6 不是 / 2:7 不是 / 2:11 不可, 不可 / 2:13 不怜悯 / 2:21 不是 / 2:24 不是 / 2:25 不也是(역시…도 아닌가) 3:1 不要 / 3:8 不止息 / 3:10 不应该 / 3:12 不能 / 3:14 不可 / 3:15 不是 4:1 不是 / 4:2 得不着(부정적 정도 보어), 不求 / 4:4 不知 / 4:11 不可, 不是 / 4:14 不知道, 不见了 / 4:16 不去 5:3 不是 / 5:8 不要 / 5:12 不可, 不可, 不可, 不可, 不是, 不是 / 5:17 不要, 不下 / 5:20 不死
김란 | 레인보우 컨설팅, 사역언어평가원 원장(E-mail/ rainbow21@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