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와 생태계의 문제에 대해서 다루는 책들이 최근 10년 사이 여러 영역에서 많이 출간되고 있다. 그 가운데 생태적 관점에서 말씀과 세상을 이해하고 이 시대 그리스도인들을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 위해 출판된 최근의 서적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린 엑소더스 기후 위기 시대, 생태적 전환과 교회 이진형 지음 | 기독교환경운동연대 | 삼원사(2020년)
기후위기로 인한 불안과 갈등이 고조되는 종말론적 위기의 상황 속에서 교회의 사명이 무엇일까?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를 경험하고 확산시키는 공동체로서 생태적 삶의 방식을 제시해야 한다. 모든 생명이 상호의존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정의롭고 평화로운 하나님 나라의 원형인 창조세계를 회복하는 일이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의무이다. 이 책은 회색에서 녹색으로, 탐욕에서 은총으로, 좌절에서 희망으로 나아가는 생태적 출애굽, 그린 엑소더스가 교회의 선교적 사명임을 밝힌다. 또한 환경주일 예배드리기, 하나님 창조 세계인 자연에 귀 기울이기, 탄소배출 제로 예배 기획, GMO원료가 없는 성만찬 빵과 포도주, 생태환경으로 이끄는 사경회 운동, 꽃과 나무가 있는 예배당, 성장과 풍요가 아닌 하나님의 생태적 정의 선택, 생태적인 건축물, 탄소배출 최소 여행 에코투어, 생명살림운동 그린마켓, 종이 아끼고 재생용지 사용, 탄소발자국이 적은 로컬푸드운동, 착한소비 공정무역 상품 등 구체적인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모두를 위한 하나님의 창조세계 말씀으로 생각해 보는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 이야기 기독교환경운동연대 | (사)한국교회환경연구소 | 엘까미노(2023년)
이 책은 소그룹 성경공부 교재로서 제70차 유엔 정기총회에서 채택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17가지 주제들-빈곤퇴치, 기아종식, 건강과 웰빙, 양질의 교육, 성평등, 물과 위생, 깨끗한 에너지,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산업, 혁신과 사회기반시설, 불평등 완화,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책임감 있는 소비와 생산, 기후변화 대응, 해양 생태계, 육상 생태계, 평화, 정의와 제도, SDGs를 위한 파트너십-을 성서에 비추어 생각해보고, 더 나은 삶을 고민하고 모색하는 그리스도인들과 교회를 위해 제작되었다. 각 주제마다 지구적 상황과 한국적 현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말씀을 새롭게 묵상하고 배우며 개인적, 공동체적인 실천과 적용을 위한 질문과 나눔이 있다.
생명과 더불어 녹색희망으로 한국교회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생태교회 매뉴얼 기독교환경운동연대 (greenchrist.org)
이 책은 2021년 9개 교단이 참여한 한국교회 2050 탄소중립 선언 이후 기독교환경운동연대와 기후위기기독교신학포럼, NCCK가 공동으로 기획하고 제작한 생태교회 매뉴얼이다. 생태교회를 위한 예배, 교육, 선교의 세 가지 주제를 따라 이론과 실천을 담고 있다.
한국교회 생태교회 매뉴얼 “생명과 더불어 녹색희망으로” PDF 책자 “한국교회2050탄소중립로드맵” PDF책자
지구 정원사 예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그리스도인 데니스 오하라·조천호·한윤정·강성열·데이브 부크리스·이소명·파니·김순현 공저 | 최광선 편집 | 전남CBS 기획 | 신앙과지성사(2023년)
우리가 직면한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한 예측이 담겨 있으며, 동시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영감과 도전과 희망을 제공한다. 이 책은 지구의 꿈, 지구정원사의 과업, 생태적 제자도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주, 지구, 문명을 다루는 1부는 생태신학적 관점과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을 소개한다. 2부에서는 성경, 영성, 선교 영역에서 생태영성과 실천을 다룬다. 3부에서는 생태적 제자도의 본보기인 지구정원사 예수를 소개하며 주님의 제자인 우리들의 진지한 응답을 요청한다.
생태해방신학 구원과 정치적 생태론 대니얼 카스티요 지음 | 안재형 옮김 | 한국기독교연구소(2021년)
이 책은 오늘날 세계의 가난한 이들과 지구의 생명계 전체가 봉착한 절박한 생존 위기들에 대해, 성경과 구원, 해방과 생태론, 정치경제학과 영적 실천을 함께 통합함으로써 신학적으로 매우 치열하게 응답한 역작이다.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는 절박한 현실에 직면하여 저자는 성경의 가르침대로 “가난한 이들과 지구 모두에 대한 우선적 선택”을 강조하는 ‘정치적 생태론’을 전개한다. 성경에 드러난 구원의 신비와 역사적 해방을 적극적으로 연결시키며, 신앙 공동체의 자유와 구원을 위한 생태해방영성을 발전시키고, 그리스도인들의 해방 실천을 위한 교회적 방법들을 제시한다.
{지구 이웃과 함께 하는 40일 묵상 여행 중} _St. Basil the Great
주님, 우리가 창조세계를 소중히 여기고 돌봐야 할 필요성을 이해하도록 도와 주시옵소서. 주님, 우리 안에 있는 모든 생명체와의 유대감을 넓혀 주시옵소서. 주께서 우리에게 지구를 집으로 주신 것처럼 지구를 집으로 주신 동물들은 곧 우리의 형제입니다. 우리는 부끄러움으로 과거를 기억합니다. 인간의 높은 통치권을 무자비한 잔인함으로 행사하였고, 그리하여 주님께 노래로 올라가야 했던 지구의 소리는 고통스러운 신음이 되었습니다. 그들이 우리를 위해서 사는 것이 아니라 그들 자신과 주님을 위해 살고 있으며, 그들도 생명의 기쁨을 사랑한다는 것을 깨닫게 하옵소서. ▦
♣사진 출처 | 픽사베이 ♣김현정 | 한국에클레시아생명학연구원 총무, 선교적교회마을목회연구소 간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