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  통권 117호     필자 : 편집부
[중국의 지역과 종족]
광시좡족자치구(广区西壯族自治区)

광시좡족자치구(广区西壯族自治), 약칭 : 구이(桂)

1. 성도 : 난닝시(南宁市)

2. 위치 : 중국 남부에 위치한 자치구이며, 동으로는 광동성(??省), 동북은 후난성(湖南省), 북은 꾸이저우성(?州省), 서는 윈난성(云南省), 서남은 베트남과 접한다.
먀오얼산(苗?山-2,123m)을 정점으로 동북에서 서남방향으로 산맥이 길게 뻗어 있고, 2/3 이상이 돌산이고 지대가 높아 해발 1000m-1500m 정도이다. 

3. 면적 : 236,660㎢으로 전국의 2.46%이다.

4. 기후 : 남, 중아열대 습윤기후에 속한다. 연평균기온은 18°C~23°C, 1월은 6°C~14°C, 7월은 26°C~28°C이다. 연강수량은 1,200-1,800mm이다.

5. 민족 : 중국 내 최대 소수민족인 좡족을 비롯해 먀오(苗族)족, 야오(?)족, 둥(?)족 등 36개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를 중심으로 한족이 자치구 전체인구의 62%를 점유하며 좡족은 소수민족 인구의 90%를 차지한다.

6. 경제 : 남쪽은 바다에 임하고 있으며 수열조건이 특히 양호하다. 태풍의 피해가 적어 사탕수수 및 과일의 생장에 유리하며 사탕수수 재배기지가 개척되었다. 

또한 광산자원이 풍부하며, 채광업은 80년대 이래, 이곳의 기간산업으로 발전하였다. 이밖에도 하천이 많고 낙차가 큰데 그 가운데 홍수이허(紅水河)는 중국수력발전 자원의 보고이다. 선박운행이 가능하며 계단식 발전소 10여개소 건설, 이러한 염가의 전력을 공급하는 대규모 발전소와 비철금속 공업의 결합은 이곳의 경제진흥을 위한 전략적인 것이다.

▶ 관문도시 : 난닝 (南宁)
1,600년의 긴 역사를 가진 중국 광시좡족자치구의 성도이며, 6개의 구(區)와 2개의 현(縣)으로 나뉜다. 요우장(右江)과 주오장강(左江)의 합류지점에 가까워 광시의 행정·경제·교통·문화의 중심지이다. 

648만 명(2005년), 면적 1만 29㎢ 이다. 난닝분지와 융장(邕江)평원에 있는 도시이며, 주장(珠江)의 지류인 위장(郁江)강의 북안에 위치하며,  연평균기온 21.6℃, 1월 평균기온 12.9℃, 7월 평균기온 28.3℃, 연평균강수량 1,281mm이다.

1. 역사
이곳은 한(漢)나라 때부터 화난(華南) 서부의 정치·경제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당(唐)나라 때부터 융저우(邕州)라고 불렀으며, 원(元)나라 때는 난닝루(南寧路)로 개칭하였고, 송(宋)나라 때부터 청(淸)나라 때에 이르기까지는 변경지역 방위의 요지였다. 1949년에 시(市)가 되었고, 1950년에 성도가 되었으며, 1958년 자치주 소재지가 되었다.

2. 경제
청나라 말 이래 개항장(開港場)이 형성되어 내륙 수운의 거점으로서 유장강 유역에서 생산되는 쌀·사탕수수·땅콩·과실·잎담배 등의 농산물을 집산하여 상업 활동이 활발했으나, 공업 발전은 큰 진전이 없어 소비도시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의 인구는 9만 정도였으나 그 뒤 공업의 발전과 더불어 인구가 급속히 늘어났다. 경공업 위주이며, 제강·화학비료·공작기계·고무·피혁·제지·제당·제분·육류가공·인쇄업 등 각종 공업이 발달하였다. 또 부근에는 탄전과 금·은·납 등의 광상(鑛床)이 있는데, 특히 텅스텐광(鑛)은 일찍부터 채굴되어 수출한다. 농산물로는 열대과일·사탕수수 등을 산출한다.

3. 교통
교통은 샹구이철도(湘桂鐵道)에 의해서 베이징(北京)에, 유이관(友誼關)을 경유하여 베트남으로 연결되며, 베트남에 이르는 도로도 뚫려 있어 중국· 베트남의 경제· 문화 교류의 거점이 되었다. 또 위장강의 수운(水運)을 이용하여 동쪽은 광저우(廣州])·우저우(梧州), 서쪽은 바이써(百色)·룽저우(龍州), 이밖에 홍콩·마카오 등지까지도 왕래할 수 있다. 시 동북쪽에 공항이 있다.

▶ 대상종족 : 좡족(Zhuang 壯族)
좡족은 중국의 최다수의 소수민족으로 광시좡족자치구에 90%이상이 거주하고 그 외에 윈난성, 광동성, 꾸이저우성, 베이징(北京) 등의 중국 전역에 분포되어 있고, 베트남 남부에 거주한다.

좡족은 고대 바이위에 (白越, 한족이 들어오기 전에 화베이에 살던 원주민)의 자손으로, 지금 광시장족자치구에 살고 있는 좡족은 루오티엔(?田)이라고 불려졌던 부족공동의 논을 경작한 루어민(?民)이다. 이들은 주대(周代)부터 전국시대(???代)에 걸쳐서 시와(西瓦)와 루어위에(?越)로 나누어 있었는데 시와인은 광시의 동부로부터 광동의 서부에 걸쳐 살았고, 루어위에인은 광서의 서부로부터 윈난의 동부 혹은 북베트남에 걸쳐 살았다. 그후 기원전 3세기에 진(秦)의 始皇帝가 영남으로 진격하여 이들을 합병하여 시와위에(西瓦越)이라고 부르며 이를 통치하기 시작한 이래 이들은 광시(?西) 최대의 부족집단이 되었으며 이들이 곧 지금의 좡족이다. 이들의 명칭은 오랫동안 통(童)이라고 불리워 오다가 혁명이후 소수민족 멸시의 표현이라는 이유로 이를 통(童)이라고 1966년까지 부르다가 1966년에는 다시 좡족으로 바꿔 오늘에 이르고 있다.

1. 언어
한·티베트어계 좡·동어족 좡·따이어지(?藏?系???族???支)에 속하고, 크게 남부, 북부방언으로 구분된다.

2. 지형과 기후
주거지역은 극히 일부가 해안가에 살기도 하지만, 대부분 해발 1,000m이상의 고원지대에서 살고 있어 평원이 적은 편이며 아열대기후에 비가 많다.

3. 경제
수입원 : 주요 수입원은 벼농사이다. 다른 수입은 수공예품과 팔 것을 생산하는 시장에 의해서이다.
생산물 : 주요 생산물은 쌀이다. 다른 기술들은 여성들이 직조하는 직조물이다. 좡족의 동북은 천년보다 더 시간을 뒤로 돌릴 수 있고, 그들은 그들 가운데 320개 이상의 수집물을 가지고 있어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현대화 : 대부분의 좡족의 하루는 시골의 농사일에 포함된다. 대부분 좡족은 중국의 중국인들보다 가난하다. 그들은 중국의 현대화와 산업화로부터 벗어나있다. 그들의 언어와 문자는 중국에서도 다른 중국종족들보다 빈약하고, 그들은 도시로 이주하거나 공장에 고용된 이들도 조금은 발견할 수 있다. 좡족의 주요 거주지는 산의 둘러싸여 고립되어 있다.

4. 사회제도
지미제도(羈?制度)
일종의 예속(??)제도로 진한(秦?)에서 송조(宋朝)에 이르기까지의 중앙봉건왕조시대에 변방의 소수민족을 통치하기 위해 시행한 특수한 정치제도인데 중앙에서 직접 관리를 파견하여 통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현지 소수민족의 지도자를 관리 임명해 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치하는 제도이다.

투스제도(土司制度)
송(宋)대 이후 남부와 서남부의 소수민족지역에 보편적으로 시행된 자치성이 보장된 사회제도로서 그 기원은 지미제도이다. 북방민족들은 유목민족이라서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심한 유동성으로 민족의 변화가 많기 때문에 이 제도가 정착하기 어려웠으나 남부지역은 농경민족으로 한곳에 정착해 살기 때문에 특히 발전되었다.

투스(土司)는 족장이라는 뜻이며 투스제도란 족장이 지배하는 사회제도인데, 족장이란 본래 자기의 부족만을 지배하기 마련인데 당시에는 정치, 경제, 군사의 모든 통치권을 갖고 주위의 약소민족을 노예로서 지배하고 착취한 통치권자로서의 성격이 포함되어 있다. 투스는 사병(私兵)을 두고 때로는 이웃 투스간에 세력다툼으로 전쟁을 하기도 했다. 투스의 심판기관은 투스아문(土司衙?)으로 투관(土官)을 최고지도자로 한다. 때로는 중앙정부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해도 규제를 심하게 가하지는 못해 횡포가 심했다. 투스제도는 계속 활성화되어 청조말까지 이어졌다.

5. 문화예술
문학
구전문학이 주류를 이루고, 대를 거듭해서 전해져 내려오는 창조신화의 뿌뤄둬(布洛?), 전설, 농경민족으로 물의 중요함을 반영해 희생적인 모습을 그린 옌강산(岩?山)과 역시 용을 숭배해 용에 관한 이야기도 많이 전해진다.

음악
고대로부터 무속문화의 주술적인 효과로서 극(?)과 더불어 발전해왔고 춤도 다양하다.

동고(?鼓)
공예품으로 동고가 유명하고 광시지구에서 출토되거나 소장하고 있는 것이 500여 면(面)이나 되어 “동고의 고향”이라고 일컬어진다.

동고를 사용한 민족은 뿌이족(布依族), 동족(?族), 수이족(水族), 리족(黎族), 걸라우족(??族), 먀오족(苗族), 야오족(?族), 투지아족(土家族), 이족(?族)뿐 아니라 베트남, 라오스, 태국, 미얀마, 말레이시아, 크메르 등 동남아의 여러 나라 민족에게도 나타나며 모두 고대에 혈연관계에 있었던 민족으로 여겨진다. 동고은 원래 요리하는 도구인 동부에서 유래했으며 후에 두드리는 북으로 변화되었다고 한다.

동고는 신령한 수호신으로서 권위의 상징이기도 했으며 우뢰신과 태양을 혼연일체로 여기는 자연숭배사상과 관련해 그 위해 태양, 구름, 우뢰 등을 조각했다.

6. 생활풍습
가옥구조
고대 위에족(越族)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깐란식(干?式)건축양식은 마란(麻?), 까오란(高?), 꺼란(葛?) 등 다양하게 부르는데 흙과 목재를 사용해 2층을 지어 아래층은 창고와 가축의 우리로, 위층은 사람이 거주한다.

의상
주로 여자의 의상형태에 의해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계파와 지역에 따라 모두 다르다.

두라오제(都老制)
춘라오제(村老制)라고도 하며, 일종의 사회제도로서 마을에 “두라오(都老)”라는 원로격의 대표를 자유로 선거로 선출해, 마을에서 지켜야할 규약을 정해 마을의 질서와 보호를 위해 일하게 한다. 부모를 공양하지 않는 자녀, 마을 공동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자, 절도, 남의 명예를 훼손하는 자, 강간 등 풍속을 해하는 자 등에 대한 제반 업무를 처리한다.

음식
농경민족으로 쌀을 주식으로, 일찍이 춘탕이라는 쌀 가공법을 사용했다. 쌀국수라고 할 미시엔을 즐기며, 명절에는 오색찹쌀밥을 지어먹는 등 다른 민족과 거의 유사하다.

결혼
일부일처제로 같은 민족 간에 결혼하고 같은 마을 내에서는 거의 하지 않으며, 12세 이후 부모에 의해 정혼하나 근래에는 결혼 적령기가 많이 높아졌다. 전통적으로 친구를 동반하고 뚜이거(?歌)로 자신들의 상황을 자유롭게 전달하며 연애하는 풍습이 있어서 어린 시절부터 창(唱)을 배운다. 쌍방간에 마음이 통한 후 중매인을 세워 결혼에 이르는 모습은 다른 민족과 다름이 없다. 결혼하는 과정에 찹쌀빠빠(?米??)가 중요한 예물역할을 한다.

명절
4월 모내기철에 지내는 푸니지에(?泥?), 음력 6월 24일에 지내는 훠바지에(火把?), 츠니엔판(吃年?), 지동고(祭?鼓)등 농한기에 집중되어 있는 편임 그 중에서도 섣달 그믐날밤부터 정월 보름까지 한해의 농사를 마무리하고 지난 한해의 수고를 돌아보며 새로이 한해의 농사를 준비하는 의미를 담아 참쌀술을 담그고 그 향과 맛에 따라 한해 농사의 길흉을 점치며 풍성하게 지내는 빼이니엔(?年)이 성대하다.

장례
목관 토장을 하며 비정상적으로 죽은 사람만 화장(火葬)을 한다. 죽은 자의 연령에 따라 장례를 치르는 격식이 다른데 어린아이는 관 없이 간단히 치르고 30세 이하의 기혼자나 30세 이상의 미혼자는 흰 나무관을 사용해 하루나 이틀 안치 후 매장한다.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을 음부의 천한홍(天汗洪)과 지한홍(地汗洪)이 관장한다고 믿어 그들에게 제사지낸다. 도교의 영향을 받아 도공(道公)들이 와 창唱 형식의 경을 읽으며 문상객이 오면 땅에 엎드려 맞이한다.

7. 종교
불교는 동진(?普)때에 들어와 지금의 핑러현(平??)에 최초로 절이 세워지고 꾸이린(桂林)으로 전해져 당대에 좡족지역에서 불교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커다란 영향을 끼쳤고, 혼란한 시대에 민심을 붙잡기 위한 통치수단의 일환으로 종교를 이용하기도 했다. 당시의 노예제도 하에서 귀신을 믿는 부속문화의 영향으로 노주인이 신의 대리인역할을 하는데 불교는 선한 행실을 통해 누구나 수신(修身)할 수 있음과 유교 또한 인치(人治), 즉 사람이 인정(仁政)을 베풀어야 함을 앞세움에 따라, 노예주에 대한 개념이 무너져 결국은 봉건제도가 일어나고 유교와 불교 사이에 반목도 있었지만 불교가 흥성한다. 자연을 숭배해 토지신을 섬기며 70년대의 심한 기근으로 80년대에 새로이 많은 토지먀오를 건립하기도 했고 거의 집집마다 선칸을 설치해 조상을 숭배한다.

1844년 12월 이후 전주교를 개방해, 영국과 프랑스 선교사들이 들어왔고, 1905년에는 프랑스 신부에 의해 우밍현, 량장향에 들어와 전도하며 성당을 건립하고, 기독교는 1907년에 이미 27곳의 예배처가 세워졌으며 1931년에는 80여 곳에 교회를 세웠다. 1949년 약 7천여 명의 기독교 인구에서 오늘날 8-9만 명으로 성장하였지만 사역자의 수는 크게 늘지 않았다. 삼자교회로는 중산루(中山路)와 공허루(共和路) 교회가 있다.

8. 기도제목
1) 남부와 북부 좡족어로 완벽한 성경번역을 위하여
2) 라마불교와 이슬람교의 세력이 강한 이 지역의 영혼 구원을 위하여
3) 지도자가 양육될 수 있는 안정된 예배 처소와 장소를 허락하여 주시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