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샤(长沙) 후난성(湖南省)의 성도(省都) 창샤(长沙)는 국무원에서 문화역사도시로 지정한 곳으로 많은 유적과 관광자원이 있다. 인근에는 중국 4대 호수 중의 하나인 둥팅후(洞庭湖)가 있고, 3대 누각 중 하나인 위에양로우(岳阳樓), 송나라 4대 서원 중 하나인 위에루슈위엔(岳麓书院)이 있다.
행정구역 및 인구 푸용(芙蓉), 위화(雨花), 카이푸(开福), 톈신(天心), 위에루(岳麓)구(区)와 창샤(长沙), 왕청(望城), 닝샹(宁乡)현(县), 리우양(浏阳)현급시(县级市)로 나뉜다. 총 면적은 1.18만㎢이고 인구는 601.8만 명(2006년)이다. 역사 후난성은 양쯔장(阳子江)과 황허(黃河)의 사이에 위치해 고대부터 문명이 발달했던 지역이다. 창샤는 중국역사 문화의 명성이다. 전국(战国)시대(기원전 476-221)에 초(楚)나라의 중요한 진으로 청양이라고 칭하였으며 이미 도시가 형성되어 진시황이 나라를 통일한 이후(BC 211)엔 창샤군(长沙郡)으로 명명하였다. 한고조 5년(BC 202년)에 성벽을 쌓기 시작하여 명 홍무 5년(1372년)에 벽돌로 성벽을 쌓았고, 1903년(아편전쟁 후) 상하이(上海)가 개방된 이후 1904년부터 외국과의 교역이 개방된 지역으로 일찍부터 많은 외국인들이 와서 교회, 공장, 학교를 지었다. 예일 대학에서 세운 의학센터도 이곳 창샤에 세워졌다.
예로부터 인물이 많이 배출되었는데, 현대만 해도 중국인명사전에 올라간 83명 중 10명이 후난성 출신이다. 특별히 마오쩌둥(毛泽东), 류사오치(刘少奇), 펑더화이(彭德怀) 등 공산당 대표 인사들이 이곳 출신이다.
기후 및 교통 아열대 계절풍 습윤 기후에 속하여 사계절이 뚜렷하다. 봄은 따뜻하나 변화가 심하고, 여름은 맑지만 평균 29℃ 정도로 덥고 길다. 기온이 가장 낮은 1월은 평균 4.6℃로 그 기간은 짧다. 그러나 중국 남부는 실내 난방시설이 없기에 체감온도는 훨씬 낮게 느껴진다. 연평균 기온은 16-18℃이고 연평균 강우량이 1,300-1,700㎜로 농업에 적당한 기후이다.
징광선(京广线, 베이징-광둥) 철로와 107번, 319번 국도가 이곳을 교차하고, 또한 상장(湘江)항운이 서로 이곳을 접한다.
산업 및 경제 창샤는 과거의 중국 4대 쌀 고장의 하나이며 전체의 15.6%가 농경지로 식량생산은 전국 5위이고, 벼 생산은 전국 1위이다. 대표작물로 목화, 차, 담배 등이 많이 생산되고, 돼지를 중심으로 한 가축도 풍부하다. 또 전체 면적의 57%가 삼림으로 목재 생산도 전국 수위이다.
중국정부의 ‘빠우(八五)계획’ (1991-1995, 8차 5개년 경제계획) 기간 동안 목화생산은 12만 톤에서 22만 4천 톤으로, 육류생산은 189만 톤에서 317만 톤으로 늘어나 바 있다. 앞으로도 정부에서는 농업을 중심으로 하여 식량증산에 경제의 목표를 두고 있다. 공업이 발달하였고, 수공업으로는 장수, 오리털피, 자기 등이 유명하다.
종교 및 기독교 현황 후난성은 1929년 농민운동을 처음 시작하여 공산주의가 태동하기 시작한 곳이다. 후난성에 있는 마오쩌둥의 생가에는 문화대혁명까지만 해도 모든 학생들이 이곳을 방문해야 하는 곳이었다. 지금도 공산주의 사상을 가진 사람은 이곳을 중요하게 여겨서 1997년도까지만 해도 마오쩌둥의 초상화와 찬양집이 유행이었다.
외래 종교로 몰몬교와 바하이즘이 창샤에 들어왔었다. 바하이즘은 미국 뉴에이지의 일종으로 모든 것이 신(神)이라고 주장하는 종교이다. 또 안식일교가 삼자교회인 베이탕(北堂)을 빌려서 토요일에 예배를 드리고 있는데, 교인은 50여 명으로 영향력이 크지 않다고 한다. 창샤에는 처소교회가 약 40여 개 있다. 또 허드슨 테일러가 죽었을 때 장사를 지낸 교회인 난탕(南堂)이 있다.
창샤에는 후난성 전체 6천만 여 명 중 기독교인은 0.25%에 불과하다. 창샤의 기독교인은 삼자교회와 처소교회를 합쳐 약 5천여 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도가 금지되어 있지만 실제로 창샤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면 복음을 잘 받아들이는 편이라고 한다. 기도제목 1. 창샤가 후난성의 복음의 관문도시로서 공산주의가 태동하고 많은 인물이 배출된 이곳에 많은 주님의 일꾼들이 세워지도록 기도하자. 2. 공산주의가 활발했던 이곳에 예수 그리스도의 가치관이 편만하도록 기도하자.
충칭(重庆) 충칭은 일찍부터 정치적으로 수도라고 불릴 만큼 역사와 경제의 발전을 이룩한 도시이다.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텐진(天津)에 이어 중국의 네 번째 직할시가 된 충칭시는 인구와 면적으로 보아도 중국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인 쓰촨(四川)성의 물류중심지로서 서남지역의 경제적 창구역할을 담당하는 국제도시이다.
한국의 임시정부가 마지막 거점 지역으로 머물러 국민당 정부와 협력하였던 한국과 인연이 많은 도시이다.
행정구역 및 인구 바난(巴南), 베이베이(北碚), 창서우(长寿), 따뚜커우(大渡口), 푸링(涪陵), 장베이(江北), 주룽포(九龙坡), 난안(南岸), 찬장(黔江), 사핑바(沙坪坝), 쐉차오(双桥), 완성(万盛), 완저우(万州), 위베이(渝北), 위중(渝中), 허촨(合川), 장진(江津), 융촨(永川), 난촨(南川)구(区)와 비산(璧山), 청커우(城口), 따주(大足), 띠엔장(垫江), 펑뚜(丰都), 펑지에(奉节), 카이(介), 량핑(梁平), 치장(綦江), 룽창(荣昌), 퉁량(铜梁), 퉁난(潼南), 우룽(武隆), 우산(巫山), 우시(巫溪), 윈양(云阳), 중(忠)현(县) 그리고 펑수이먀오주투자주(彭水苗族土家族), 스주투자주(石柱土家族), 시우산투자주(秀山土家族), 요우양투자주먀오주(酉阳土家族苗族)자치현(自治县)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면적은 8.2만㎢, 인구는 3,107만 명(2002년)이다.
역사 중국 남쪽에 자리 잡고 있는 충칭의 약칭은 ‘우(忧)’ 이며 춘추(春秋)시기에는 파국(巴国)의 수도였다. 오늘까지 3천 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공원 1189년 송꽝종(宋光宗) 조준이 왕위를 계승하여 ‘쌍중희경(双重喜庆)’ 이란 의미로 충칭이라 칭하였고 항전(抗战)시기 국민 정부는 충칭을 전국의 정치 중심 수도로 정하였다. 1997년 3월 14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제5차 대회에서 충칭을 중국에서 네 번째의 직할시로 승격하였다.
기후 및 교통 아열대 계절 기후에 속하며 여름에 보통 35-40°C를 웃도는 날씨는 중국 3대 화로 중의 하나로 유명하다. 평상시 안개가 많아 ‘안개 도시’ 라고도 불리고, 겨울에는 영하로 떨어지지 않으며 습기가 많다.
충칭시는 지리적인 입지가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지만 양쯔장(阳子江)을 이용하여 수로를 열어 서남지역과 우한(武汉), 난징(南京), 상하이를 잇는 내륙 수로 교통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청위(成制), 촨첸(川黔)의 2개 철도를 이용하여 남쪽은 꾸이저우성(贵州省) 북쪽은 산시성(陝西省)을 거쳐 전국 각지와 왕래할 수 있고, 수륙교통의 중심으로서 각종 물산의 집산지이다.
산업 및 경제 빈부의 격차가 심한 도시 중 하나로 높은 건물이 많고, 잘 발달된 육해상 교통과 상공업이 발달되어 있다. 물가가 내륙에서는 조금 비싼 편에 속하며 의복에 있어서 소수민족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고 음식은 주로 채소와 쌀을 많이 먹는데, 특히 맵고 짜며 여러 가지의 채소와 고기 그리고 생선을 한꺼번에 먹는 ‘훠궈(火锅)’가 유명하다.
충칭은 공업이 발달하였으므로 강철, 화고, 기계 에너지, 정밀기계 등은 전국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급, 경제 개발구급 최고 과학기술개발구였다. 고등학부의 실력이 높고 농업, 경제, 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양쯔장 싼샤(三峽)댐을 통한 새로운 발전을 모색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물과 공기의 오염이 심각하고 교통시설이 열악하며 공원 및 공공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종교 및 기독교 현황 내륙의 기독교 역사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충칭의 기독교 역사를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면서도 화려하다. 역사문헌에 의하면 1866년 기독교가 전래되어 100년이 넘는 기독교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1998년 1월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충칭직할시 신도수를 20만 명으로 계산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훨씬 많은 것으로 알려진다.
기도제목 1. 충칭의 모든 교회의 지도자와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 위에 정직하고 균형 있게 설 수 있도록 기도하자. 2. 불교의 요새였던 충칭에 복음의 빛을 비춰주시고, 쓰촨성에 살고 있는 소수민족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사역자가 세워지도록 기도하자. 3. 이단화가 되고 있는 농촌의 가정교회에 올바른 복음이 심겨지며 이들을 진리로 양육해줄 지도자가 세워지도록 기도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