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5.3  통권 201호     필자 : 강대위
[기획]
세계 화인 (華人) 디아스포라선교-동남아시아 화인 디아스포라선교를 중심으로-


본고는 세계 화인(華人) 디아스포라선교를 위하여 기존 학자들이 연구한 내용들을 번역, 편집하여 선교사의 입장에서 정리하고 기술하였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아쉽지만 여건상 세계에 흩어져 있는 화인 전체를 대상으로 다루지는 못하고, 특별히 동남아시아 7개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화인 디아스포라선교에 집중하여 다루고자 합니다. 그리고 다음에 기회가 다시 주어진다면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화인 디아스포라에 대해서도 다룰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화인을 위하여 부르심을 받은 선교사들과 화인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유익한 자료가 되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다소 미진한 점이 있을지라도 양해를 바랍니다.


서론

한국선교의 당면한 문제 가운데 하나는 재배치라고 강조된 지 이미 오래되었다.1)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가 정리한 ‘2017년 한국선교사의 사역현황’을 살펴보면, 복음주의자 비율이 5% 이상인 지역을 전도된 지역(reached area)이라고 볼 때, 이 지역에서 사역하는 한국선교사의 총숫자는 16,033명으로 전체 한국선교사의 절반을 차지한다.

한국선교는 중국 안에서 교회를 개척하고 교회 지도자들을 육성하는 사역을 주로 감당하였으며, 오늘의 중국교회가 활력이 있어 성장하는 토착교회가 되는 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현재 한국선교사들이 중국에서 대거 귀국하는 상황에서 선교사 자신뿐 아니라 파송단체들과 후원교회들이 재배치를 위하여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지만 이를 위한 사전 준비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어려움은 새로운 사역지를 찾는 일이다. 선교사들이 이전에 사역한 내용과 유사한 사역을 중국 밖에서 찾으려고 하기 때문에 재배치는 어려운 일로 여겨지며 또한 사역지를 찾은 뒤에도 교회를 설득하는 일 또한 쉽지 않은 일이다. 이와 같은 어려움들이 있지만 선교의 주인이신 하나님이 선교적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새로운 지역에 전략적으로 재배치하실 것을 믿고, 인도하심에 다시 한 번 헌신할 때 우리의 선교영역이 확장되고 세계선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해외 화인 디아스포라의 선교적 필요가 세계 도처에서 많이 있었지만 이들의 요청은 거의 외면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선교사들은 이제까지 중국 안에서 사역한 경험을 가지고 해외 화인 디아스포라들을 향하여 사역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디아스포라 화인선교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의가 있지만 이들과 함께 현지인들을 선교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도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화인 디아스포라선교의 전략적 중요성을 먼저 다룬 뒤에, 최근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프로젝트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근접한 동남아 국가들의 중국 진출 현황과 선교적 기회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화인교회와의 협력 사역의 유형과 협력 사역을 할 때 유의할 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화인 디아스포라선교의 전략적 중요성2)
해외 거주 중국인 디아스포라는 2011년 당시 모두 4천 3백만 명으로서 148개국에 거주하고 있는데 이것은 홍콩, 마카오, 대만 등의 지역을 제외한 숫자이다.3) 이들 중 4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들은 65%가량으로, 인도네시아에 800만 명, 태국에 7백5십만 명, 말레이시아에 6백5십만 명, 미국에 4백2십만 명이 살고 있다. 

디아스포라 화인들의 분포가 다양한 만큼 화교권 교회의 형태도 다양하다. 초기 화교 이민자들로 구성된 교회로서는 광동어(廣東話)를 사용하는 교회와 커자(客家)교회, 차오저우(潮州, 광동성 동부에 있는 도시)교회, 대만인 중심의 민난어(閩南話, 國語)를 사용하는 교회, 동남아 이주자들의 교회(越南화교교회, 인도네시아 화교교회, 말레이시아 화교교회) 등을 들 수 있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중국인 이주자(신이민, 新移民)가 늘어나면서 현지의 화교교회들은 만다린어(Mandarin)부를 신설하거나 기존의 화인 디아스포라교회 안에 선저우모임(神州團契)과 같은 중국 신이민자들의 모임을 두거나, 신이민자들이 독자적으로 교회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신이민자들을 선교하는 사람들은 주로 홍콩, 싱가포르, 대만, 미국 등지의 화인교회에서 파송한 자들이며, 그중 일부는 그 지역의 현지인을 위하여 타문화 사역을 하던 사람들도 있다.

2011년 대륙 밖의 세계 디아스포라 화인교회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아시아에 7,217개, 미국과 캐나다에 1,614개, 유럽과 오세아니아에 311개, 라틴아메리카에 109개, 아프리카에 32개 등 모두 9,283개의 화인교회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4) 디아스포라 선교학자인 원에녹(溫以諾) 박사는 무신론 국가인 중국과 불교 국가인 대만의 신이민자들의 해외 이주는 현대 선교역사에 있어서 전례가 없는 ‘kairos moment’의 기회라고 말하였다.5) 그는 화인들이 대부분 10/40창에 속한 국가들에 거주하고 있으며, 중국 안에서처럼 해외 이주자들 가운데도 복음에 수용적이나 복음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기에 현대선교에 있어서 가장 긴급한 과업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원에녹 박사는 또 화인 디아스포라교회들의 괄목할 만한 선교적 참여를 지적하면서 이들을 향한 선교와 이들을 통한 선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중화권에 사역자가 부족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신이민자들의 해외 진출 이전에도 사역자들이 많이 부족하였지만, 해마다 증가하는 신이민자들로 인하여 사역자들이 더욱 절실한 현실이 되었다. 이민 역사가 오래된 지역에서 일찍이 설립된 도시지역의 화인교회들은 대부분 안정이 되었으며 자민족 선교에 열정을 가지고 교회를 개척하고 연합하여 신학교를 설립하여 지도자 양성에도 헌신하고 있다.

                                                https://wafflesup.blog.me/221469687766(출처)


동남아시아 화인과 신이민, 그리고 선교의 기회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동남아 진출

2013년 시진핑 주석은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 증진과 참여정책을 천명하였다. 그리고 2011-2015년까지 시행된 중국 제12차 5개년 규획을 통해 기반시설과 인접 국가들과의 다른 연결망을 개발하였다. 또 다른 국가들과의 호혜적인 투자를 증진하고, 국제 경제와 금융기관에 자국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목표도 수립하였다.6) 중국은 아세안 국가들을 원조함에 있어서, 기반시설 건설에 자금을 보조하고 농업개발을 지원하며, 기술훈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국이 G2 경제대국으로 부상하고 아세안 국가들 가운데 필리핀을 제외하고 모든 회원국들과 가장 교역량이 많은 국가가 되었다. 이 지역들은 중국 중심의 지역 생산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 중국이 WTO 가입한 2000년대에 막대한 이익을 얻게 되었다. 이들은 원자재, 중간재, 광물 등의 자원을 중국에 수출하고, 중국은 마지막 생산과정을 거쳐서 산업제품을 제조하여 서방의 주요 소비시장에 수출하게 되었다. 중국은 지역 간의 교통망을 확충하는 데 거대한 자금을 출자하였다.

2015년 중국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동남아지역은 일대일로의 틀에서 물리적 연결의 향상을 위해 우선시되는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아세안의 여러 국가들은 기반시설들이 부족하고 노후화가 되었지만 자금이 부족한 상황에서 중국의 협력을 매우 환영하고 있다. 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등은 전통적으로 중국의 강한 동맹국이며, 미개발지역으로 경제개발에 있어서 중국의 원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또 다른 지역인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은 경제에 있어서 중국과 상호 보완적이며, 일대일로를 통한 중국의 투자 유입으로 산업화를 가속화하려고 한다.7) 중국은 이미 이들 지역의 철도와 고속도로, 항만시설과 발전소, 디지털 통신네트워크설비 등의 기반시설 건설에 거대한 투자를 하였다. 중국과 말레이시아의 기반설비 건설에 있어서 상호협력이 증진하고 있다. 중국은 2009년 이후 동남아 국가들의 가장 큰 무역국가가 되었다. 

라오스
중국 정부와 남부의 지방 정부는 자국민의 해외 진출을 독려하기 위하여 개인적으로 10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다. 아내와 자녀가 있을 경우에는 10만 달러를 더 지원받을 수 있으며 해외에 일정 기간 거주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와 같은 지원을 받아 진출한 많은 중국인들은 라오스 북부지역에서 물고기, 새우 등의 양어장을 운영하기도 하며, 바나나, 옥수수, 고무 등의 농산품을 중국에 대량으로 수출하기도 한다. 중국 정부는 일반 노동자들의 라오스 등 저개발국가 진출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8)

세계 기독교 정보(WCD, World Christian Database)의 2017년 자료에 따르면 라오스의 개신교인은 모두 178,000여 명이며, 이들은 크무(Khmu)족과 몽족(Hmong) 같은 소수민족들이다. 그중 절반이 크무족이다.9) 중국은 동남아 국가들과 경제적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그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한다. 중국과 라오스의 경제적 동맹관계가 증진됨에 따라서 그 지역에 중국인의 유입 또한 늘어나고 있다.10)
 

1990년대 말에 리펑(李鵬) 전 중국 국무원 총리가 라오스를 방문하면서 라오스의 중국인 공동체는 재건되었다. 라오스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10년 이상 거주자에게는 국적을 허락하였다. 중국의 신이민자들은 라오스 북부지역을 선호하였으며, 도로건설 프로젝트에 많이 투입되었으며, 완공 뒤에도 남아서 사업을 하는 자들도 많았다. 특히 윈난성(云南省) 사람들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사회 기반시설 프로젝트, 농업, 무역 등에 진출하였다. 그리고 중국은 일대일로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공사비의 70%를 투자하여 라오스의 보텐(Boten)에서 비엔티안까지 총 427Km의 철로공사(고속철)를 2016년에 시작하여,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쿤밍(昆明)-싱가포르 연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0만 명의 중국 노동자들이 투입될 것이다. 현재 3만 명의 중국 노동자들이 공사에 참여하고 있다.  

 

                                             https://wafflesup.blog.me/221469687766(출처)


캄보디아

캄보디아의 수도에 위치한 ‘프놈펜화인협회’에 따르면 2014년에 화인의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 70여만 명 정도였다고 한다. 현재 캄보디아에 거주하는 중국인은 크게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 10만여 명에서 최근에는 21만 명으로 급증하였다.11) 프놈펜 거주 화인은 135,000여 명이며 그 도시 인구의 1/3에 해당된다.12) 캄보디아에는 8개의 화인교회가 있으며,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교회는 시엠립(Siem Reap)에 1개가 있다. 캄보디아의 최대 해변 리조트 지역인 시아누크빌(Sihanoukville)에는 7만8천 명의 중국인이 거주하며, 조용하고 유명한 휴양지가 번잡한 중국 카지노타운으로 변하였다. 시아누크빌에는 2개의 화인교회가 있다. 캄보디아의 훈센(Hun Sen) 총리는 서방의 자본보다는 중국의 자본을 선호하기 때문에 중국에 초법적인 개발과 투자를 허용하고 있다.
 

미얀마
미얀마에는 200만의 중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25개의 화인교회가 있고, 그중에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교회는 3개이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정부의 투자와 지원에 힘입어 수많은 기업과 상인들이 대거 진출하였다. 그 영향으로 샨주(Shan State)의 라쉬오(Lashiao)시 인구의 30-35%는 화인이다. 또한 북부 국경지대의 몽라(Mong La), 쉐리(Shweli), 뮤세(Muse), 라이자(Laiza) 등의 지역은 다수의 화인들이 있다. 화인들은 주로 불교를 믿으며 기독교인은 극소수이다. 중국의 언어, 화폐, 문화 등이 많은 지역의 일상생활을 변화시키고 있다.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인구는 총 3,138만 명 정도이며, 그중 화인은 20.8%이다. 회교국가로서 회교도는 61.7%를 차지하며, 기독교인은 9.2%를 차지한다.13) 2006년의 자료에 따르면 기독교인 가운데 원주민은 64%, 화인은 6.6%이다.14) 화인교회는 모두 932개가 있으며, 그중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교회는 187개나 되고, 5개의 화인신학원이 있다. 중국인이 말레이시아에 처음 도착한 것은 1400년경 말라카지역이고, 선원과 상인들이었다. 영국식민통치시대(1786-1957)에 많은 중국인들이 성공한 사업가가 되어 페낭(Penang), 싱가포르, 영국의 영향권 안에 있는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사업과 무역이 성공하면서 중국 이민은 도심지역으로 치중하게 되었다. 또 19세기 초에 많은 이민자들이 주석광산의 노동자로 이주하였다. 중국인들의 삶은 시련의 연속이었다. 말레이인보다 영국인들에게 더 열등한 차별대우를 받았다. 1969년 인종폭동으로 인하여 화인 6,000여 명이 집이나 상점을 잃었고, 200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중국인들은 자신들의 취약함과 현지에 최소한이라도 동화되어야 하고 적어도 다수집단인 말레이인들의 승인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15)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지난 20년간 많은 부문에서 경제적으로 교류를 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 중국은 말레이시아 최대의 교역국이 되었다.
 

베트남
베트남의 인구는 2018년에 9,649만 명으로 세계 14위에 이르며, 화인은 약 1.1%에 달한다.16) 호찌민(Ho Chi Minh)시에 가장 많은 화인이 거주하고 있는데, 약 50여 만 명으로 이 도시 경제의 1/3이 화인들의 손에 있다. 화인들 가운데 광동어 사용자는 50%, 민난어 사용자는 30%, 그리고 소수의 커자어(客家語) 사용자들이 있다. 젊은이들은 중국어를 못하지만 최근에 중국어 학습이 활기를 띠고 있다. 복음주의 기독교인은 12% 정도이며, 그중 75%가 소수민족이다.17) 베트남에는 모두 11개의 화인교회가 있는데, 호찌민시에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화인교회가 9개 교회가 있다. 그리고 나머지는 화인선도회(華人宣道會)와 베트남화교기독교회(越南華僑基督教會)가 있다.18) 중국은 일대일로정책의 일환으로 소위 ‘양랑일권(两廊一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것은 베트남과 중국의 경제발전협약으로 두 개의 회랑 즉 중국 윈난성의 쿤밍과 베트남 라오까이-하노이-하이퐁-광닝(하롱베이 몽까이)의 두 회랑을 하나로 묶는 국가 차원의 경제발전 계획이다. 이들 지역에 중국 기업들의 투자가 집중되고 있기에 중국 기업체와 중국인들이 모여들고 있다.19)
 

또한 하노이의 각 대학에는 3,000여 명의 중국유학생이 있다. 화교교회가 있고 중국인 예배공동체가 세워져 가고 있다. 베트남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은 2016-2017년 한 해 동안 46%나 증가하였다. 2017년 1월에서 11월까지 360만 명의 중국관광객이 베트남을 다녀갔을 정도로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나라이다.20) 베트남은 중국과 영토분쟁 등의 정치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역사적으로 반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베트남 국민들이 반중국 정서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정부는 최근에 중국에 대한 호의적인 투자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중국 제품에 관세를 높임에 따라서 중국 기업들은 베트남으로 생산지를 전환하려고 한다. 아세안과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ACFTA)으로 인해 중국의 상품들이 무관세로 베트남에 들어오기 시작하였으며, 2018년까지는 90%, 2020에는 더 많이 적용할 예정이다.


태국

태국의 인구는 6,925만 명 정도이며, 화인은 14%이다. 화인 가운데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4개의 화인교회가 있다.21) 태국의 화인은 태국에 매우 큰 기여를 하였다. 특별히 경제에 있어서는 화인이 태국 자본시장의 80-90%, 제조업의 90%, 은행과 금융업의 50%, 상장한 주식회사의 80%가 화인들의 소유이고, 5명의 억만장자도 화인이고, 수상의 17명이 화인이었다.22)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국제 진출(going global) 장려정책으로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국민의 해외 진출을 크게 지원함에 따라 많은 중국인들이 태국으로 진출하고 있다.23) 태국은 정부 차원에서 중국과 교류를 적극 힘쓰고 있다. 특히 화인 기업가들이 교량적인 역할을 하여 많은 중국 기업들이 진출하고 있다. 태국 북부에는 과거 중국국민당의 퇴각한 군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이 있는데, 태국 정부가 이들을 태국공산당을 진압하는 데 활용하기도 하였고, 그 대가로 시민권을 주고 무기를 반납하게 하였다. 또한 이들은 대만국민당 정부의 연금과 지원을 받기도 하였다.24) 


인도네시아

선교사를 전략적으로 재배치하는 일을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는 인도네시아라고 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의 총인구는 2억6천만 명으로 세계에서 4위이다. 그리고 인도네시아는 17,000여 개의 섬들로 형성되어 있고, 300여 개의 종족들 가운데 약 1,000여 개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슬림이 사는 국가로서 인구의 87%가 무슬림으로 대략 2억 명이 넘는다. 인도네시아는 해외 화인 디아스포라가 가장 많은 나라이며, 화인은 전체 인구의 3-4%, 즉 800여 만에서 1,000만 정도로 추정된다. 수하르토 대통령 재직 시에 화인을 인도네시아인으로 동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실행하여 화인들이 중국어, 중국식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1998년 혁명으로 수하르토가 하야한 뒤에야 다시 화인들의 언어와 문화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32년 동안이나 중국어 사용 금지로 인해서 중국어를 읽고, 쓰고,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2010년에 실시한 인구조사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화인의 35%가 기독교인(천주교 포함)이고, 불교는 54.7%이었다. 인도네시아 화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한 원인으로는 아이러니하게도 1965년 쿠데타로 인해서 공산당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 때문이었다. 당시 쿠데타를 진압하던 국가 지도자들이 중국인들은 모두 공산당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화인들은 공산주의자라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대량으로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인도네시아 화인교회는 배화운동의 아픈 상처로 인하여 화인의 문화와 전통을 적용하는 토착화나 상황화를 시도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 그래서 일부 화인교회들은 현지 동화와 인도네시아화의 길을 택하였다. 그러나 일부 화인교회들은 만다린어와 인도네시아어 통역 예배를 드리고 있고,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사역자가 없는 교회들은 만다린어 사역자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자들은 다소 연로한 사람들이지만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많은 학교와 교회들이 중국어 교육에 힘을 쓰고 있다. 일부 여력이 있는 교회들은 젊은 교역자를 대만이나 중국에 유학을 보내 중국어 사역을 준비하기도 한다.

현재 인도네시아 대부분의 ‘totok’ 화인교회들(즉 만다린어를 사용하거나 이중언어 예배를 드리는 교회들)은 복음주의 운동에 속한다. 1939년 송상절(宋尙節)의 역사적인 자바(Java) 방문과 전도활동은 그의 다른 동남아지역 순회 사역에 영향을 끼쳤는데, 인도네시아 화인교회 부흥의 초석을 놓았으며, 강력한 복음주의적 영향을 미쳤다. 현재에도 잘 유지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화인 기독교인들 중에 복음주의 운동의 주요 거점은 동남아성경신학원(Southeast Asia Bible Seminary(or SAAT, Seminari Alkitab Asia Tenggara)이다. 복음주의 운동은 수하르토 이후 ‘인도네시아 화인교회 연합(Communion of Chinese Churches in Indonesia, PGTI)’의 설립으로 인하여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중국어가 가능한 한국선교사들이 인도네시아 화인교회를 섬김으로 화인선교를 수행할 뿐 아니라 화인교회를 동원하여 현지인선교를 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메단(Medan)의 화인교회에 재배치되어 사역하고 성공적으로 사역하고 있는 유 선교사는 화인교회를 섬김으로써 현지인선교를 추진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역의 방향을 인도네시아 화인교회를 ‘선교적 교회’로 전환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습니다. 화인교회가 선교적 교회로 전환된다면, 1차적 선교대상인 화인들 중에서 아직 그리스도를 믿는 않는 자들에게 복음을 증거할 수 있게 될 것이고, 교회가 1차적 선교목적을 이루면서 복음에 대한 열정과 영적 능력을 회복할 때, 인도네시아선교와 무슬림선교 위한 첫 발을 내딛게 될 수 있습니다.” 유 선교사가 제시한 인도네시아 화인교회를 통한 현지선교전략은 세계 모든 지역에 흩어져 있는 화인 디아스포라교회를 통한 현지선교전략에도 적용될 수 있는 탁월한 전략적 선교모델이다.

 
화인교회와 협력 유형


한국인선교사가 해외 중화권에서 사역할 수 있는 유형을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1) 화인교회 담임: 화인교회의 청빙을 받아 담임 사역자로 섬길 수 있다. 교회 지도자들의 특성을 사전에 잘 알아야 하고, 또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교회인지 잘 분별하여야 한다. 주변 지도자들과 성도들이 그 교회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는지도 제대로 알아보아야 한다. 처음부터 담임하기보다는 일정기간 교회를 섬기며 교회에 대하여 살펴보는 기간도 필요하다. 


2) 화인교회 협력선교사: 화인교회의 담임목사가 책임감이 큰 직책임을 고려할 때, 행정적 부담이 비교적 적은 말씀 사역만을 감당하는 협력선교사로 섬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3) 화인교회와 협력하여 새로운 사역 개발(교회개척, 훈련원, 신학교): 기존의 화인교회나 기관과 협력하여 선교사 중심으로 새로운 사역을 개발하는 것도 갈등 없이 장기 사역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4) 독자적으로 화인교회 개척 뒤 화인교회나 단체와 협력: 화인권과 무관하게 화인교회나 기관을 개척한 뒤에 선교사의 리더십으로 화인권과 협력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이 경우는 일반적으로 현지에 화인권 교회가 없어서 선교사가 개척한 경우가 될 것이다.


5) 화인교회 순회 사역: 많은 화인교회는 사역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교단과 협력하여 순회 사역을 할 수 있다 


6) 한인교회나 한인선교사와 협력하여 교회를 개척한 뒤 화인권과 협력: 한인 디아스포라교회나 현지 한인선교사를 통하여 비자발급, 건물 사역, 현지 적응, 초기 사역 협력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 후에 화인권과 협력하여 사역을 확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화인권 사역을 할 때 유의할 점들


1) 사역보다는 신뢰관계 형성에 더 노력하여야 한다. 일단 신뢰가 형성되면 사역은 쉽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카리스마적 지도자보다는 겸손하고 온유한 목회자가 화인권과 협력하는 데 더 쉽게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화인목회자들은 참으로 겸손하고 온유하고 매우 평범해 보이지만 지혜롭고 성실한 분들이 많이 있다.
 

3) 성도들의 잘못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덮으며 끌어 안을 때 지도자로 인정받고 존경을 받을 수 있다. 한국교회의 치리 개념보다 용서와 사랑, 관용이 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4) 섬기는 목회자로 다시 태어날 수 있어야 화인교회에서 목회에 성공할 수 있다. 지방교회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한국처럼 목사를 존중하지 않는 경향이 크다.
 

5) 성령과 성령의 사역에 대하여 매우 근본주의적인 인식을 가진 교회들이 많고 이것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자신의 신학적 성향과 협력하고자 하는 교회나 기관의 입장이 같은가를 먼저 잘 확인하고 접근하여야 한다. 
 

6) 화인교회들은 독립교회들이 많이 있다. 그래서 한국처럼 교단의 구분이 강하지 않고 초교파적으로 협력을 잘하는 편이다(Singapore Bible College, 華神). 한국장로교회처럼 조직신학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점도 있는 것 같다. 이 부분은 화인교회의 장점이기도 하며 동시에 단점으로도 보인다. 선교사들은 조직신학 부분에서 화인교회에 기여할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가는 말
한 선교지에서 일정 기간 사역을 한 뒤 새로운 나라로 선교지를 옮기어 현지 문화와 언어를 새롭게 익히고 사역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선교사에게 새로운 헌신이 필요하다. 재배치를 준비하는 자들은 대개 50대 전후로 새로운 언어를 배워야 하는 부담도 크고, 자녀들과 헤어져야 하는 어려움도 있을 것이다. 새로운 선교지에는 이미 동료들이 선임선교사로서 자리를 잡고 안정적인 사역을 하고 있지만, 자신은 신임선교사로서 이들의 안내와 지도를 받아야 하는 부담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생활과 사역적인 측면에서 이미 형성된 특성들이 새로운 사역지에서 재조정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이전 선교지의 경험이 반드시 새로운 사역지에서 성공적인 사역을 보장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이 많은 어려움들을 안고도 선교사는 새로운 사역지를 찾아가고 있지만 이들의 재배치를 위하여 준비된 단체들은 많지 않다. 많은 선교사들이 여기저기 다니며 사역지를 찾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교의 주인이신 주님의 인도하심을 구하는 일이며, 이와 더불어 선교지의 정보들을 많이 접하고 자신의 과거 사역과 경험에 유사한 사역지를 찾아야 할 것이다.
 

화인 사역을 계속할 경우 해외 화인들은 국내에서 경험한 사람들과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고 해도 다른 점이 많기에 새로운 이해와 접근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재배치를 위한 훈련원도 필요하다. 필자는 이 글에서 중국선교사들은 재배치가 필요한 시점에 이미 와 있다고 보았다. 해외 화인의 2/3가 동남아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재배치를 위한 우선시되는 지역으로 동남아시아 화인들의 현황을 다루었다.
 

중국의 일대일로정책의 영향으로 계속하여 많은 중국의 자본과 기술, 그리고 사람들이 동남아시아 일대로 진출하고 있기에 많은 선교사가 필요한 형편이다. 또 아프리카에도 중국의 진출이 활발하여 많은 중국인들이 이주하였다. 해외 중국인이 있는 곳에는 어디든지 선교사가 필요한 형편이다. 해외 화인들을 위한 사역을 위해 우선적으로 그 지역에 이미 존재하는 화인교회들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 목회자가 없는 화인교회를 섬길 수도 있을 것이며, 새로운 교회를 개척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존의 화인교회를 잘 섬기어 현지인들 선교하는 교회로 발전시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사역이다. 화인교회를 섬길 때는 이들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겸손한 자세로 사역해야 할 것이다.



미주    

1) 2000 년 개최된 21 세기선교전략회의(NCOWE III)의 결의문 중 3은 다음과 같다. 3. 우리는 선교 인력과 선교 재원이 복음화한 지역(Reached Area)에 집중되어 있는 불균형을 시정하고, (중략) 그러므로 신임 선교사 배치는 미전도종족과 지역에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일부 기존 선교사도 파송된 국가 내의 미전도종족과 지역으로 전진배치 되거나 인근 유사 문화 국가로 재배치되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한다. 
2) 일반적으로 해외 화인은 중국이나 해외에서 출생하고 중국의 혈통을 소유한자로서 중화지역인 중국 대륙, 대만, 홍콩, 마카오 등의 지역 밖에서 사는 사람들을 말한다. 
3) Dudley L Poston Jr and Juyin Helen Wong, The Chinese diaspora: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overseas Chinese population,
Chinese Journal of Sociology 2016, 2(3) 2016, 363.

4) GoInt’l, 49호 2018.1-2, 세계 화인교회에 관한 정보를 알려면 다음의 사이트를 참고하기 바람. https://church.oursweb.net/
5) EnochWan, Mission among the Chinese D1aspora:
A Case Study of Migration and Mission Missi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31(1), January 2003, 36.

6) Hong Yu,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Its Implications for
Southeast Asia, Asia Policy, Number12, July 2017, 478.

7) Hong Yu,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Its Implications for Southeast Asia, 120.

8) Tran Thi Hai Yen, The New Chinese Immigrations in Laos Present-day,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iplomacy, (5)12, December 2017, 734.

9) Church History & Facts – LAOS,
https://www.opendoors.no/.../Download.aspx?...dokumenter%2F.
10) LAOS: Chinese investments could stoke social unrest,
Oxford Analytica Daily Brief Service 13 May 2016.

11) 김상훈, ‘일대일로' 바람 분 캄보디아 소도시 中 카지노가 점령,’
연합뉴스, (2018.10.20.)
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 
12) https://en.wikipedia.org/wiki/Chinese_Cambodian
13) Malaysia Demographics Profile 2018https:
//
www.indexmundi.com/malaysia/ demographics_profile.html

14) 원주민을 bumiputra(땅의 아들)이라고 하며, 기독교인은 말레이인이 아닌 토착민들로서 동말레이시아 사바와 사라와주의 토착민 중의 신자를 말한다. 
16) Vietnam Population2018, World Population Review,
http://worldpopulationreview.com/countries/vietnam-population/
17) https://omf.org/asia/vietnam/about-vietnam/
18) 中華基督教網路發展協會 https://church.oursweb.net/slocation.php 
19) 中国昆明-越南老街-河内-海防-广宁(下龙,芒街),中国南宁-越南谅山-河内-海防-广宁
20) Chinese Get Chances to Invest in Vietnam Despite Political Rifts, Voice of America,
https://www.voanews.com/a/vietnam-and-chinese-investments/4703661.html
21) 미등록자를 포함하면 7천만 명 정도라고 한다.
http://worldpopulationreview.com/countries/thailand-population/
22) Alexander Franco, Book Review of “History of the Thai-Chinese,”
ASEAN Journal of Management & Innovation, 2(2), 101.

23) Yos Santasmbat, Chinese Capitalism and Economic Integration in Southeast,
Asian Trends in Southeast Asia, 2018, 7.

24) Duan Ying, Kuomintang Soldiers and Their Descendants in Northern T
hailand: An Ethnographic Study, JOURNAL OF CHINESE OVERSEAS 4(2), NOV. 2008: 238-257.





 


강대위 | 인천중화교회 담임목사